동영상
재집권 이후 1년 만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일가가 가상자산 사업으로 약 1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14조 원을 벌어들였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일가의 가상자산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으로서의 지위를 적극 활용한 만큼 이해충돌 우려도 제기됩니다.
일본 닛케이신문은 현지시간 10일 미국 정부 윤리국 등 자료를 분석해 트럼프 대통령 일가의 가상자산 사업에 대해 보도했습니다.
매체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가상자산 투자는 지난해 9월 설립한 가상자산 투자회사 월드리버티파이낸셜, WLF를 통해 본격적으로 이뤄졌습니다.
WLF의 주 수입원은 WLF가 자체 발행하는 가상화폐 'WLFI'와 달러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1'의 거래 수수료로 이뤄집니다.
그런데 이 수입의 75%는 트럼프 대통령의 가족 기업으로 흘러가고, 또 이들이 전체 WLFI 발행량의 4분의 1을 보유하고 있어, WLFI의 가치가 오를수록 트럼프 일가가 큰 이득을 보게 됩니다.
WLFI가 부정 청탁 통로로 악용된다는 지적도 나오는데, 실제로 가상화폐 '트론'을 만들어 낸 암호화폐 사업가 저스틴 선은 2023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시장 조작 혐의로 기소돼 수사를 받아왔지만, 7,500만 달러 규모의 WLFI를 구매한 뒤 트럼프 행정부가 소송을 중단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에는 실체가 없는 이른 바 '밈코인'인 '트럼프 코인'을 발행해 큰 이익을 올렸습니다.
(취재: 김민정, 영상편집: 김수영,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트럼프 대통령은 코인 보유량 상위 220명을 자신과의 만찬에 초청하는 등 자신과 가족이 전체 발행량의 80%를 보유한 트럼프 코인을 적극 홍보했고, 현재 트럼프 코인의 시가 총액은 16억 달러, 우리 돈 2조 3천억 원까지 올랐습니다.
트루스소셜을 운영하는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는 20억 달러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같은 가상자산을 전략적으로 비축할 것"이라 발표하며 시장을 뒤흔들었습니다.
닛케이는 트럼프 대통령 일가의 가상자산 사업이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치적 취약점이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