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울산화력 매몰자 수색 재개…드론 이어 구조인력도 투입

최승훈 기자

입력 : 2025.11.09 11:06|수정 : 2025.11.09 11:07


▲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나흘째인 9일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 양옆으로 4·6호기가 위태롭게 서 있다. 지난 6일 발생한 이 사고로 작업자 7명이 매몰돼 3명 사망, 2명 사망 추정, 2명 실종 상태다. 붕괴 현장에는 현재 실종자 2명을 포함해 5명이 아직 매몰돼 있다. 

위험 징후 감지로 밤사이 수색·구조 작업이 중단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오늘(9일) 오전 실종 매몰자 수색이 재개됐습니다.

무인기(드론)를 이용한 수색이 먼저 이뤄졌다가 구조인력도 투입됐습니다.

앞서 소방 당국은 어제(8일) 오후 5시 25분쯤부터 매몰자 구조·수색을 위한 작업을 전면 중단했습니다.

붕괴한 보일러 타워 5호기에 부착해 둔 기울기 센서가 반응하면서 경보음이 울렸기 때문입니다.

소방당국은 무너진 타워 잔해에서 추가 붕괴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 구조·수색 인력과 장비 등을 즉시 현장 주변에서 철수시켰습니다.

소방 당국은 오늘 아침 7시 구조안전 전문가 등이 참여한 상황판단 회의를 열어 현재 내부 수색 작업은 위험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야간에 내린 비, 현재 불고 있는 바람, 사고 발생 전 4·6호기에 이미 상당히 진행된 취약화 작업(철거 시 한 번에 쉽게 무너질 수 있도록 기둥과 철골 구조물 등을 미리 잘라놓는 것) 등을 고려했을 때 추가 붕괴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소방 당국은 이날 오전 8시 10분부터 드론을 투입한 수색 활동을 재개했습니다.

소방 당국 관계자는 "향후 취약화 작업이 시작돼도 드론 수색은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다가 오전 10시 30분부터 수색 작업에 구조대원 17명도 투입했습니다.

현장 상황이 일부 바뀐 데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5호기 양옆에 있는 4·6호기를 발파해 해체하기 위한 사전 작업도 이날부터 본격화할 전망입니다.

붕괴 위험이 있는 이들 타워를 발파하려면 현재 75% 수준인 6호기의 취약화 작업을 마무리해야 합니다.

현장에선 이 작업을 통해 발파 때 5호기나 대형 굴뚝이 있는 쪽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유도할 예정입니다.

작업 인력은 이르면 오늘 중에 투입될 수 있습니다.

현장 인근을 지나는 LNG 배관에 질소를 주입해 배관을 비우는 '퍼징(purging) 작업'도 병행합니다.

타워 발파 영향으로 배관이 폭발하는 등 2차 사고를 방지하려는 목적입니다.

지난 6일 낮 2시 2분쯤 울산화력발전소에서는 가로 25m, 세로 15.5m, 높이 63m 규모의 보일러 타워 5호기가 순식간에 붕괴해 현장에 있던 작업자 9명 중 7명이 매몰됐습니다.

매몰된 7명 중 3명이 사망했습니다.

또 다른 2명은 숨진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2명은 실종된 상탭니다.

붕괴 현장에는 현재 실종자 2명을 포함해 5명이 아직 매몰돼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