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영상
							
							
								동영상
							
							
							
						 
						
					내년 결혼해 함께 살 전셋집, 또는 월셋집을 구하는 예비 신혼부부라면? "내년이면 늦는다, 지금 당장 집을 구하라"는 게 '부동산 1타'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의 단호한 조언입니다. "내일보다는 오늘, 모레보다는 그래도 내일이 나아요. 서둘러야 합니다."
이른바 '갭 투자'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실거주자끼리만 거래할 수 있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고 전세대출도 축소한 10·15 대책 이후, 과연 전월세 시장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을까? "전셋값은 아주 간단해요. 투자 요소가 전혀 없으니까요. 딱 두 가지 원리로 움직입니다. 그 두 가지 모두, 전세의 소멸과 전세가 폭등 방향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세가 소멸하면... 월세는 그대로 있을까요? 월세가 기타 선진국보다 '저렴'한 편인 이유, 왜였다고 생각하세요? 앞으로 임차인으로 살아야 한다면... 서둘러야 합니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과 함께 SBS <경제탈곡기>에서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임대차 시장을 탈.탈 털어 예상해 봤습니다.
1. 내년에 결혼한다면… 전월세 계약 언제 할까요?
2. '내 집 마련'은 언제 할까요?
3. 전세가격 하락하면 매매가격 하락할까요?
4. "전세 제도를 왜 '악마화' 하죠? 그 덕분에 월세도 저렴하게 살면서요"
5. "거주 지역 공고한 계층화 더욱 부추기고 있어요"
6. "'똘똘한 한 채'는 더욱 우뚝 설 겁니다"
7. 부동산 대책 '최소한 십년지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