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긍정 57% vs 33% 부정...평가 엇갈린 이유는?
긍정 57% vs 33% 부정...평가 엇갈린 이유는?
APEC과 한미 관세협상 등 '외교 슈퍼위크'의 민심 흐름을 엿볼 수 있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10월 마지막 주 갤럽 정기조사 결과가 그것인데요.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가 지난주보다 1%포인트 오른 57%, 부정 평가는 지난주와 동일한 33%로 집계됐습니다. 갤럽 조사가 28일~30일 사흘 동안 진행됐다는 점에서, 28일 밤 전해진 한미 관세협상 타결 등 외교 활동에 대한 긍정 평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추석 연휴를 제외하고, 9월 3주차부터 오늘 조사 결과까지 추이는 이렇습니다.
 
조사 개요
이번 조사는 2025년 10월 28~30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입니다. 응답률은 12.6%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나 한국갤럽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0%를 기록하던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 평가는, 한 달 전 이재명 대통령의 유엔 총회 연설이란 호재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민주당 주도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4인 회동 의혹제기' 등이 악재로 작용하면서 50%대 중반으로 주저앉았습니다(구체적인 수치는 모두 갤럽 조사에 기반한 겁니다). 부동산 대책이 나온 10월 3주차까지 이런 상황이 이어지다가 2주 연속으로 소폭 반등하고 있습니다. APEC을 앞두고 정청래 민주당 대표가 "무정쟁 선언"까지 한 이유도 이런 맥락에서였겠죠. (야당한테 한 말이라기보다 스스로 다짐하는 무정쟁 선언으로 봐야 할까요?)
긍정 평가 상승 요소로는 역시 코스피 4천 돌파와 한미 정상회담을 통한 관세협상 타결을 꼽을 수 있고, 부정적인 요소는 10·15 부동산 대책 및 그와 관련된 논란의 발언들 또 최민희 국회 과방위원장 도덕성 논란을 들 수 있습니다. 긍정과 부정 평가 이유를 보면, 이런 분석이 더욱 설득력을 얻습니다.

긍정 응답자의 23%가 외교를 이유로 꼽았습니다. 지난주보다 9%포인트 늘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과 관세협상 타결이 가장 결정적으로 작용한 걸로 보입니다. 두 번째로 많은 이유가 경제와 민생 18%인데, 주가상승 응답이 별도로 4%인 점을 감안하면 4천 포인트를 돌파한 코스피 상승에 대한 긍정적 평가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부정 응답자 가운데 가장 많이 든 이유는 부동산 정책 12%입니다. 외교를 꼽은 응답자도 12%로 같은데, 다만 외교를 든 응답은 지난주보다 3%포인트 줄었습니다. 보수층에서는 한미 정상회담과 관세협상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내리는 응답자가 적지 않지만, 그 강도가 지난주보다는 약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눈에 띄는 건 세 번째 이유 도덕성 문제 10%입니다. 부동산 대책 관련 논란의 발언들, 최민희 과방위원장의 딸 결혼식 축의금 논란과 문제적 해명 등을 지적한 응답으로 보입니다.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 41%, 국민의힘 26%, 조국혁신당 3%, 개혁신당 3% 순입니다(무당층 26%). 민주당은 최근 3차례 조사에서 39%, 43%, 41%이고, 국민의힘은 25%, 25%, 26%입니다. 9월 이후, 대략 40대 25 수준의 지지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 '서울 지지율'...민주 31% vs 국힘 32%
그런데 눈에 띄는 숫자가 하나 있습니다. 지역별 세부 항목 가운데 '서울 지지율'입니다.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 평가가 47%(부정 44%)로 전국 평균보다 10%포인트 낮습니다. 비슷한 경향을 보였던 같은 수도권의 인천·경기가 60%인 점과 대조됩니다. 정당 지지도에서도 서울에서는 민주당 31%, 국민의힘 32%, 오차범위 안이지만 대구·경북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국민의힘이 높게 나왔습니다.
서울 지지율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긍정 47% vs 44% 부정
정당 지지율: 민주 31% vs 32% 국민의힘 (지난주 41% vs 20%)
물론 통계적으로는 전국 단위 조사를 지역별로 해석하는 것은 제한적입니다. 전국 단위에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이지만, 지역별로는 표본수가 줄어든 만큼 표본오차가 훨씬 커집니다. 서울 지역의 경우 표본수가 188명(국정운영), 184명(정당) 정도라서, 통계 신뢰성 지표인 상대표준오차는 전체 오차에 비해 2~3배 더 커집니다. 이번 한 주로 판단할 수 없고, 조금 더 시간을 두고 추이를 지켜봐야 합니다.
이런 엄밀성의 문제점을 감안하더라도, 9월 이후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도가 14~15%포인트 차이를 유지했던 상황에서 이번 주 서울 지역 정당 지지도와 국정수행 평가는 이례적입니다. 토지거래허가제 전면 확대라는 10·15 부동산 대책의 여파가 서울 지역 민심에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되고, 정당 지지도의 경우는 최민희 과방위원장의 축의금, 양자역학 운운한 해명 등이 겹쳐서 작용한 결과겠지요.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