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
건조한 가을·겨울철에 수요가 높은 가습기가 제품 간 가습량 차이가 크고, 유지관리비용은 제품별로 최대 40배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장에 판매 중인 가습기 13종을 시험평가한 결과 제품 간 주요 성능 차이가 컸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소비자원은 초음파식 4개, 가열식 3개, 복합식 3개, 기화식 3개 등 총 13가지 제품을 대상으로 성능을 시험했습니다.
시간당 가습량은 시간당 182∼606㎖로 최대 3.3배 차이가 있었습니다.
가장 가습량이 적은 제품은 복합식인 한경희생활과학의 'HAAN-HD100A' 모델이었고, 가장 많은 제품은 역시 복합식인 LG전자 'HY704RWUAB'였습니다.
가습량은 가장 높은 가습단계로 예열 작동 후 1시간 동안 분무되는 수분의 양을 측정한 수치로, 너무 많으면 실내 습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곰팡이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너무 적으면 실내 건조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필터 교체 등을 고려한 연간 유지관리 비용을 보면 한 달에 오늘(30일)·하루 8시간·6개월 사용을 가정했을 때 초음파식은 4천640∼6천420원, 가열식은 7만 2천750∼9만 1천70원, 기화식은 5천330∼10만 8천330원, 복합식은 1만 5천780∼18만 9천290원으로 나타나 초음파식 제품이 상대적으로 저렴했습니다.
LG전자 제품은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정수 필터와 공기청정 필터가 포함돼 있어 유지관리비용이 18만 9천290원으로 가장 비쌌다.
다이슨(PH05), 샤오미(CJSJSQ02XYKR) 제품도 각각 공기청정필터, 가습필터 교체가 필요해 10만 8천330원, 2만 7천270원의 유지관리비가 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저렴한 제품은 쿠쿠전자(CH-GS301FW) 제품으로 4천640원이었습니다.
시험평가 대상 제품의 판매가격도 7만 9천900원(신일전자·SUH-CLR4L)에서 149만 원(LG전자)으로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소음은 기화식 제품이 46∼62㏈(데시벨)로 높았고 초음파식·가열식·복합식 37~44㏈ 수준이었습니다.
다만 가열식 제품은 작동 초반 50㏈이 넘는 수준의 소음이 발생했다고 소비자원은 전했습니다.
안전성 측면에서는 전 제품이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열식 제품의 경우 증기 온도가 99℃여서 화상에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원은 "가습기 구입 시에는 사용 공간·가습 방식별 특성 등을 고려하고 가습량·유지관리 비용·소음·가격 등을 꼼꼼히 비교한 후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