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미 대통령(왼쪽)과 다카이치 일본 총리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계기로 미국과 일본이 각각 발표한 일본의 대미 투자 관련 문서 내용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아사히신문이 보도했습니다.
일본은 지난 7월 미국과 무역 협상을 타결하면서 5천500억 달러(약 784조 원)를 미국에 투자하기로 했으나, 세부 내용을 둘러싸고 견해차를 노출했습니다.
이에 양측은 9월 초순 투자 부문 양해각서를 체결했지만, 상세한 투자 항목 등을 놓고 또다시 이견이 드러나면서 일본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고 아사히가 전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과 다카이치 총리가 도쿄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한 지난 28일 영문과 일문으로 '미일 간 투자에 관한 공동 팩트시트'를 공개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팩트시트에 대해 개별 기업이 투자를 결정한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 구성에 관심을 보인 항목을 열거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백악관도 현지시간 28일 일본 기업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으로부터 막대한 양의 투자 유치를 추진한다'는 제목을 단 '팩트시트'를 홈페이지에 올렸습니다.
아사히는 "일본 문서에 있는 사업 21건의 규모는 총액이 4천억 달러(약 569조 원)지만, 미국 문서에서는 5천억 달러(약 711조 원)를 넘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국이) 어떻게 숫자를 만들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미국 문서에는 일본 자료에는 없는 내용도 다수 담겼습니다.
예컨대 도요타자동차가 미국에서 생산한 자동차를 일본에 '역수입'하고, 도쿄가스와 JERA가 미국 알래스카주 액화천연가스(LNG)를 구매하겠다는 문서를 체결했다는 것은 미국 문서에만 있습니다.
또 미국 문서에는 일본이 스마트폰 소프트웨어 규제 강화법으로 미국 기업을 차별하지 않고 공정한 경쟁을 유지할 것이라는 문구도 포함됐습니다.
이는 투자와는 직접적 관계가 없는 내용입니다.
일본 정부 내에서는 미국이 투자 관련 문서에 이러한 내용을 넣은 의도를 알 수 없다는 견해가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울러 미국 문서에는 미일 정상회담 이전에 이미 발표됐던 안건도 담겼습니다.
미국 측 문서는 투자 성과 등을 미국 내에 알리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아사히 신문은 해설했습니다.
일본 민간연구소 노무라소켄의 기우치 다카히데 이그제큐티브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에 온 것만으로 미국 이익이 이만큼 늘었다는 것을 호소하려는 듯하다"며 "실제로는 무엇도 증명되지 않은 내용일 것"이라고 아사히에 말했습니다.
이와는 별개로 일본 문서를 대상으로도 내용이 불분명하고 근거가 빈약하다는 우려가 일본 내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