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투자증권 사옥
금융 당국이 NH투자증권 투자은행(IB) 부문 고위가 상장사 공개 매수와 관련한 미공개 정보 이용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기 위한 강제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한 불공정 거래 척결을 위해 출범한 합동대응단의 '2호 사건'입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로 구성된 주가 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오늘(28일) NH투자증권 IB 부문 고위 임원 A 씨의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와 관련해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본사와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 중입니다.
A 씨는 상장사 공개 매수를 주관하는 등 IB 업무를 총괄하는 과정에서 고객사 내부 정보를 이용해 수십억 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합동대응단은 A 씨를 포함해 그의 가족 및 가족의 지인, 영업본부 직원 등 총 4명을 혐의자로 보고 있습니다.
이들은 수년간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여러 종목에 투자해 왔으며, 부당이득은 총 20억 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합동대응단은 일반 투자자보다 훨씬 높은 도덕성과 내부 통제가 요구되는 금융회사 고위 임원이 불공정 거래에 가담한 점을 엄중하게 보고 있습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시장을 관리하고 불공정 거래를 차단해야 할 금융회사 임원이 불공정 거래에 나섰다는 것은 심각한 사안"이라며 "죄질이 나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A 씨는 해당 혐의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또, 가족 등의 주식 거래 내용은 알지 못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합동대응단은 오늘 압수수색을 통해 각종 서류, PC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해 미공개 정보를 취득한 경로와 가족 및 지인에게 전파한 내용 등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강력 경고해온 대로 "패가망신"의 사례들이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앞서 합동대응단은 '1호 사건'으로 종합병원, 대형 학원 운영자 등 슈퍼리치와 유명 사모펀드 전직 임원, 금융회사 지점장 등 금융 전문가들이 1천억 규모의 자금을 동원해 대형 주가 조작을 적발했습니다.
(사진=NH투자증권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