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호주대사 도피 조력' 박성재 채상병 특검 출석…조태용도 재소환

편광현 기자

입력 : 2025.10.24 14:30|수정 : 2025.10.24 14:30


▲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이 24일 서울 서초구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도피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오늘(24일)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습니다.

박 전 장관은 오늘 오전 10시쯤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출석하며 '검사 출신으로서 피의자를 출국금지 해제하는 것이 적절한가'라는 취재진 질의에 "정상적으로 업무를 처리했습니다. 조사 시에 충분히 설명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시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그런 사실 없다"고 말했습니다.

박 전 장관은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인 이 전 장관의 해외 도피를 도운 혐의를 받습니다.

이 전 장관은 지난해 3월 4일 주호주대사로 임명될 당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선상에 올라 출국금지 상태였습니다.

법무부는 임명 사흘 뒤인 3월 8일 이 전 장관이 공수처에 출석해 조사받자마자 출금을 해제했습니다.

범죄 피의자의 출국 허용이 논란이 되자 당시 법무부는 이 전 장관에 대한 공수처 소환조사가 이뤄졌고, 여러 차례 출국금지 조처가 연장됐으며 본인이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전 장관은 출국해 호주대사로 부임했다가 국내 여론이 급격히 악화하자 11일 만에 방산 협력 공관장회의 참석을 이유로 귀국했고 3월 25일 전격 사임했습니다.

특검팀은 이 전 장관의 대사 임명 절차, 출국금지 해제, 공관장회의 개최 등 일련의 과정에 대통령실의 지시가 있었던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앞서 특검팀은 법무부 관계자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박 전 장관과 심우정 당시 검찰총장이 출금 업무 실무자에게 '이 전 장관이 대사로 임명됐으니 출금을 해제하는 쪽으로 하라'는 취지의 지침을 줬다는 진술을 확보했습니다.

오늘 특검팀은 박 전 장관을 상대로 출국금지를 해제하기로 사전에 지침이 정해졌는지, 대통령실로부터 내려온 지시가 있었는지 등을 캐물을 것으로 보입니다.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이 9월 29일 서초동 이명현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로 소환되고 있다.
특검팀은 오늘 오후 수사외압 의혹과 관련해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재차 소환했습니다.

조 전 실장이 해병특검에서 조사받는 것은 이번이 6번째입니다.

조 전 실장은 오늘 낮 12시쯤 '사건기록 회수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지시가 기억나지 않는 것인지'를 묻는 취재진 질의에 "성실하게 조사받겠다"고 답했습니다.

'이시원 전 공직기강비서관은 조 전 실장의 지시라고 진술했다'고 되묻자 "그것도 다 진술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조 전 실장은 해병대 수사단이 경찰에 이첩한 채상병 순직 사건의 기록 회수에 개입한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조 전 실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초동수사 결과를 보고 받고 크게 화를 냈다는 이른바 'VIP 격노' 회의에 마지막까지 남아있었던 인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