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농협은행 캄보디아 송금 3배로 급증…범죄자금 통로 우려"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10.24 10:33|수정 : 2025.10.24 10:33


▲ NH농협은행

농협은행을 통한 캄보디아로의 해외송금이 최근 4년간 급증하며 보이스피싱·조직범죄 자금의 유출 통로로 악용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이 오늘(24일) 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캄보디아 조직범죄가 본격화한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농협은행을 거쳐 캄보디아로 송금된 연간 금액은 약 3배로 늘었습니다.

연간 송금액은 2021년 368억 원에서 2022년 459억 원, 2023년 942억 원, 2024년 1천38억 원으로 급증했습니다.

올해 9월 기준 송금액도 이미 798억 원에 달해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2021년부터 올해 9월까지 농협은행을 통해 총 2만 1천981건, 금액으로는 3천605억 원(2억 5천172만 달러)이 송금됐습니다.

이 가운데 한국인 송금액은 3천160억 원(2억 2천45만 달러)으로 전체의 88%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2023년부터 올해 9월 사이 농협은행을 통해 캄보디아로 송금된 계좌 중 지급정지 된 사례는 31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때문에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협박형 보이스피싱 송금인지 점검해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농협은행은 지난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금융사기 방지시스템 구축과 센터 운영에 54억 원을 투입했지만 실효성은 낮았습니다.

이 기간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8천807건, 피해액은 1천366억 원이었으나 환급금은 217억 원(환급률 15.9%)에 불과했습니다.

한편 농협은행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캄보디아 현지 단체 AFESIP(위기의 여성들을 위한 행동)에 3만 7천 달러(약 5천만 원)를 기부했습니다.

하지만 이 단체는 지난 2014년 창립자 '소말리 맘'이 성착취 피해자에게 허위 증언을 시킨 사실이 드러나 미국 내 비영리 기구가 폐쇄됐으며 미 대사관은 해당 단체의 자금 운용과 서비스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논란에도 소말리 맘은 현재 대표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어기구 의원은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납치·협박형 보이스피싱이 확산하고 있지만 농협은행의 금융사기 방지 시스템은 여전히 허술하다"면서 "캄보디아 송금이 범죄자금 통로로 악용될 우려가 큰 만큼 해외계좌 실명확인과 이상거래 탐지체계를 전면 재점검하고 현지 사업과 기부금 운용을 투명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