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유소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러시아의 대형 석유기업을 상대로 제재를 가하면서 23일(현지시간) 국제유가가 하루새 5% 넘게 올랐습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종가는 배럴당 61.79달러로, 전장보다 5.6% 올랐습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 종가는 배럴당 65.99달러로, 전장보다 5.4% 상승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문제 해결을 위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했으나, 전날 회담 계획을 전격 취소한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미 재무부는 러시아가 평화 협상에 진지하게 임하지 않는다며 루코일, 로스네프트 등 러시아 대형 석유회사와 자회사들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
유럽연합(EU)도 전날 러시아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금지 조치 등을 포함한 19차 대러시아 제재 패키지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데이비드 옥슬리 최고 기후·원자재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대러 제재 발표는 러시아의 에너지 부문을 타깃 한 주요한 긴장 고조 행위이며 내년에 세계 석유 시장을 (공급) 부족으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수준의 충격이 될 수 있다"라고 평가했습니다.
삭소뱅크의 올레 한센 원자재 전략 책임자는 미국의 대러 추가 제재로 인해 중국과 인도 등 주요 러시아산 석유 구매자들이 서방의 금융 제재에 직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른 구매처를 물색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제재 발표 이후 중국의 주요 국영 에너지 기업들이 두 러시아 기업으로부터 석유 구매를 유보했다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UBS의 지오바니 스타우노보 분석가는 인도가 제재에 어떻게 반응할지, 러시아가 대체 구매자를 찾을지에 따라 제재의 영향이 결정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일각에선 미국의 대러시아 추가 제재가 석유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관측을 내놓습니다.
리스타드 에너지의 글로벌 시장분석 책임자 클라우디오 갈림베르티는 "지난 3년 반 동안 거의 모든 대러 제재가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이나 수익에 큰 타격을 주지 못했다"라고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