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 외교부 장관
조현 외교부 장관은 한국과 미국 간 통상 협상에 정해진 기한은 없으며 원자력 관련 협상이 곧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조 장관은 오늘(23일) MBC 라디오에 출연해 한미 통상 협상 합의문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정상회의 계기에 발표될 수 있냐는 질문에 "어느 시점을 데드라인으로 잡고 해야 한다, 꼭 그런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조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이 밝혔듯 국익을 우선으로 하고 상업적 합리성에 기초해야 하는데 이런 것에 못 미치면 조금 더 시간을 갖고 협상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투자 구조, 투자 방식, 수익 배분 이런 것에 관해서 어느 하나를 조금 줄이면 대신 다른 것이 늘어나는 이런 복잡한 구조가 있다"며 "결국 한미 간 '윈윈'할 수 있는 좋은 패키지는 만들어낼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조 장관은 안보 분야 협상에 한미원자력협력협정 개정 얘기가 "당연히 포함됐다"며 "우라늄 농축을 해야 하고, 사용 후 핵연료를 재처리하는 게 필요하다는 것을 아주 강력하게 요청했고 그게 받아들여져서 이것도 협상을 곧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방위비 분담금 문제와 관련해서는 "미국이 (증액을) 요구하지 않았다"며 "우리 입장을 지켜냈다는 정도로 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조 장관은 경주 APEC 정상회의 공동선언에 대해 "자유무역은 여기서 복원하기가, 그런 선언이 나오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보호주의와 자국 우선주의를 앞세우는 미국의 입김이 강하다는 취지로 풀이됩니다.
조 장관은 미국이 최근 주한대사대리를 교체하는 등의 움직임이 북미 대화 포석 아니냐는 질문에 "그 때문은 아닐 것"이라면서도 '깜짝 만남'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