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참여연대 "배민서 1만5천 원 팔면 배달비·수수료가 4천500원"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10.23 06:42|수정 : 2025.10.23 06:42


▲ 배달의 민족

배달앱 배달의민족(배민)에 입점한 업체가 부담하는 배달비와 중계·결제수수료 등 총수수료 부담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참여연대는 22일 '배달의민족 수수료 부담 실태보고서'를 공개하고 2023년부터 2년 새 입점업체가 부담하는 총수수료가 3%포인트 가량 올랐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배민 입점 가게 세 곳을 분석한 결과 2023년 8월 총수수료가 약 20∼22% 수준이었는데, 올해 8월에는 23∼26%까지 올랐습니다.

가격대별로 보면 2만 원 미만인 경우 고정적인 배달비 비중으로 수수료 부담이 전체의 30%수준까지 높아졌습니다.

1만 5천 원을 팔면 수수료만 4천500원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고 참여연대는 설명했습니다.

지난해부터 시행된 '무료배달'이 음식가격 인상을 유도해 소비자 부담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세 매장에서 쿠폰 할인 강제, 광고비·배달비 등 수수료 부담으로 매년 음식 가격을 올렸습니다.

예를 들어 세 매장 중 A 분식집에서 돈가스와 국수를 주문할 경우 2023년에는 돈가스 6천 원, 국수 6천 원, 배달비 3천 원으로 1만 5천 원이 들었지만 올해는 돈가스 8천500원, 국수 7천500원, 무료배달을 위한 구독료 1천990원까지 1만 7천190원이 들었습니다.

참여연대는 "배달앱 기업은 수수료 인상과 외식물가 인상 간 인과관계 입증이 어렵다고 주장하지만 실제 배달앱 수수료 인상과 입점업체 메뉴 가격 인상은 뚜렷한 연관성을 띠고 있으며, 대다수 매장이 원인으로 '배달앱 수수료 부담'을 지목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총수수료를 배달 건당 15% 이내로 제한하는 '총수수료 상한제' 도입 등을 제안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