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향저격] 최근 <굿뉴스>, <사마귀> 공개한 변성현 감독의 영화적 세계 (글 : 홍수정 영화평론가)
올해 OTT에서 활발한 활약을 보여준 영화감독으로 '변성현'을 꼽을 수 있다. 하반기 <사마귀>에 이어 <굿뉴스>가 넷플릭스에서 공개되었다. 10월 말 기준으로, 한국 넷플릭스 영화 TOP 10 차트에는 변성현의 작품이 3개나 있다(<굿뉴스>, <킹메이커>, <사마귀>). 그러니까 우리는 일상에서 생각보다 자주 그의 작품을 접한다.
하지만 변성현에 대해 말해지는 것들은 많지 않다. 그가 스타일리시한 연출을 즐기며 킬러물, 형사물 등 독특한 세계관을 시도한다는 것 정도. 열성적인 마니아를 양산했던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전도연을 앞세운 여성 킬러물 <길복순> 정도. 하지만 사실 변성현은 제각기 다른 소재의 영화 속에서도 한 가지 주제에 꾸준히 천착해 왔다. 테마는 은밀하게 반복된다. 그리고 바로 여기에 변성현 영화의 핵심이 있다. 그 숨겨진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한다. 아래에는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일부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다.
변성현은 초기작인 <나의 PS 파트너>로 주목받았다. 지성과 김아중이 주연을 맡았고, 이들이 우연한 계기로 야릇한 전화를 하게 된다는 내용의 19금 로맨틱 코미디물이다. 그는 이 영화에서 성에 관한 도발적인 이야기를 유쾌하게 풀어낸다. 특히 성에 대한 말들을 가감 없이 쏟아내는 장면이 압권이다. 변성현은 <나의 PS 파트너>에서 경직된 한국 사회(이 영화는 2012년 개봉했다) 이면에 놓인 솔직하고 발칙한 커플들의 세계를 소개한다. 여기서부터 변성현의 관심사가 드러난다. 그건 현실에서 잘 보이지 않으나 분명히 존재하는 이색적인 세계다.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도 마찬가지다. 여기에는 언더커버 경찰과 마약 조직이 등장한다. 이들은 모두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의 눈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 또한 두 조직 모두를 오가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마약조직 간부 재호(설경구)에게 접근하는 언더커버 경찰 현수(임시완)다. 어둠 속에 숨겨진 세계, 그 안에서 대립하는 여러 조직, 이들 사이를 오가며 진실을 깨닫는 한 명의 인물. 이런 구도가 변성현의 영화에서 중요하다.
<킹메이커>는 같은 구도를 이어받는다. 여당과 야당이 등장하며, 영화는 화려한 선거판 이면의 어둡고 복잡한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준다. 그리고 양쪽 모두와 접촉하는 이가 있으니, 운범(설경구)의 그림자로 불리는 창대(이선균)다. 그는 정치판에 드리운 어둠 그 자체를 상징한다.
청부살인업자의 세계를 그린 <길복순>은 변성현표 킬러물의 포문을 연 작품이다. 소재 자체로 이미 지하 세계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도 여러 인물이 충돌한다. 대표적으로 차민규(설경구)가 세운 MK Ent(엠케이 엔터,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위장하고 있다)가 있고, 여기 속하지 못한 무직자들이 있다. 길복순(전도연)이 차민규에 대적하여 그의 세계를 타격하는 것이 이 영화의 내용이다. 여기서 이 세계의 질서에서 벗어나 이곳저곳을 오가는 인물은 다름아닌 복순이다.
<길복순>이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는 영화라면 <사마귀>는 그것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영화다. 복순의 다음 세대를 표방하는 한울(임시완)과 재이(박규영)는 그들만의 세계를 만들어간다.
변성현의 최신작 <굿뉴스> 역시 '가리어진 세계'를 다룬다. 이것은 역사에 남지 않아서 몰랐던 이야기다(이 영화는 픽션이지만, 역사에 기록되지 못한 비화를 표방한다). 변성현의 영화답게 여러 조직이 대립한다. 대한민국 정부, 일본 관료, 비행기 테러범 등. 이들 사이를 오가는 인물 역시 등장한다. 바로 아무개(설경구)와 서고명(홍경)이다. 아무개는 권력 작동의 어두운 비밀을 간직한 인물로, <킹메이커>의 창대와 비슷하다. 고명은 여러 장소를 오가며 세계의 진실을 깨닫는데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의 현수와 겹친다. 이 둘은 마치 아버지와 아들 같다. 아무개는 그가 아는 씁쓸한 진리의 조각을 현수에게 전달하고, 현수는 이들 받아들이거나 저항하며 성장해 나간다. 변성현은 이 둘을 통해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관객에게 전한다.
이제 우리는 변성현의 영화에서 보이는 흐릿한 형체를 그려볼 수 있을 것 같다. 우선 그는 어둠 속에 숨겨진 세계에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 세계는 평범한 눈으로 보이지 않으며, 영화라는 매개를 통해서만 접촉할 수 있다. 그는 기본적으로 가려진 이면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 그리고 이 세계는 여러 진영과 집단으로 나뉘어 반목하고 충돌한다. 이는 변성현이 생각하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이다. 평화를 유지하던 룰은 깨지기 마련이고(<길복순>) 남겨진 인간들은 아귀다툼에 정신이 없다(<킹메이커>, <굿뉴스>). 그리고 아수라장 사이를 오가는 인물이 등장한다. 그 사람의 표정은 평온할 수도(<길복순>), 차가울 수도(<킹메이커>), 혹은 눈물이 가득할 수도 있다(<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그런데, 변성현이 이 모든 과정을 거쳐 닿고자 하는 것은 결국 '인간'이다. 그들은 충격적인 진실 앞에서 절망하기도, 냉소하기도 하지만 다른 인간과 부딪히고 타협하며 결국 자기 길을 찾는다. 밝은 빛의 세계는 말해주지 않는 진실. 그 앞에서 휘청거릴지언정 끝내 자기 자리를 벗어나지 않고 버티는 인간들. 그들을 향한 애틋한 애정이 변성현의 영화에는 가득하다. 그런 의미에서 그는 인간을 믿는 휴머니스트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