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9월 서울·경기 신고가 비중 증가…10·15 대책으로 이어져"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10.20 09:31|수정 : 2025.10.20 09:31


▲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한 6·27 가계 부채 대책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갔던 주택 시장이 지난달 가격 반등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0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 공개 시스템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지난 6월 23%에서 8월 19%로 떨어졌으나 9월 24%로 반등했습니다.

9월 서초구의 신고가 비중이 54%로 가장 높았으며 광진구(50%), 마포구(44%), 성동구(43%), 강남구(42%), 중구(41%), 강동구(37%)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노원구(1%), 도봉·금천구(각 2%), 강북구(4%), 성북·관악구(각 6%) 등의 지역은 신고가 비중이 한 자릿수에 머물며 상승 확산 영향이 제한적이었습니다.

경기도의 흐름도 서울과 유사하게 핵심 축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전개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9월 과천시(57%), 성남 분당(43%)·중원(23%)·수정(21%)구, 하남시(11%)에서 두 자릿수 신고가 비중을 기록했습니다.

직방은 "10·15 규제지역 조정은 이런 상승 압력이 확산하는 흐름에 대응한 조치"라고 해석했습니다.

정부는 지난 15일 서울 25개 자치구와 경기 12개 지역을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일괄 지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 10·15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경기에서 10·15 대책을 통해 규제지역으로 묶인 12곳의 경우 신고가 비중이 8월 11%에서 14%로 높아졌습니다.

직방은 "단기적으로는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입지 중심으로 이동을 이어가고, 실수요층은 예산에 맞춘 대체 지역이나 중간 가격대 주택을 선택하는 흐름을 보일 전망"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