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성인 절반 이상은 현재 생활 수준이 부모 세대보다 나아졌다고 봤지만 미래 자녀의 생활 수준이 지금보다 좋아질 것이라는 데는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20∼49세 성인 2천500명을 대상으로 인구 변화와 사회에 대한 인식을 설문한 결과 10명 중 4명만이 자녀 세대의 생활 수준이 지금보다 나아질 것으로 봤습니다.
부모 세대와 비교했을 때 현재 생활 수준의 변화에 대해 묻자 '약간 좋아졌다'(26.5%)와 '훨씬 좋아졌다'(34.6%)는 답변이 전체 응답자의 61.1%에 달했습니다.
부모 세대 대비 생활 수준이 '약간 나빠졌다'(10.4%)거나 '훨씬 나빠졌다'(8.3%)는 부정적인 답변은 18.7%였습니다.
반면 본인과 비교해 앞으로 자녀들의 생활 수준이 어떻게 변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응답 양상이 다소 달랐습니다.
본인과 비교해 자녀들의 생활 수준이 '훨씬 좋아질 것'(14.1%) 또는 '약간 좋아질 것'(28.2%)으로 예상한 응답이 42.3%로 절반이 안됐습니다.
절반 이상은 지금과 거의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더 나빠질 것으로 예측한다는 뜻입니다.
응답자의 28.8%는 지금과 비교해 '차이가 거의 없을 것'으로 봤습니다.
지금보다 '약간 나빠질 것'(17.4%), '훨씬 나빠질 것'(11.5%) 등 안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도 28.9%에 달했습니다.
이 설문 결과는 연구팀이 독일의 성인 2천500명에게 동일한 질문을 던진 뒤 두 나라의 답변을 비교·분석한 '독일인구정책사례연구' 보고서에 실렸습니다.
독일에서는 부모 세대와 비교한 현재 생활 수준에 대해 '약간 좋아졌다'(31.9%)와 '훨씬 좋아졌다'(17.6%)가 49.5%였습니다.
본인과 비교한 자녀의 생활 수준에 대한 예상은 지금보다 '훨씬 나빠질 것'(7.5%)과 '약간 나빠질 것'(18.7%)을 합쳐 26.2%로, 우리나라보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약한 편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