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한미관계 대응에 대한 미국 내 지지율이 사상 최저라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미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가 지난달 30일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한미관계에 있어 현 미국 정부의 대응을 지지한다는 응답이 33.5%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이 수치는 지난 2020년 38.1%를 기록한 이후 매년 상승해 지난해 48.5%까지 올랐지만 한 해 만에 약 15% p 하락했습니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8%,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48.5%였습니다.
응답자 68%는 한국과의 교역이 미국에 이익이 된다고 응답했으며, 한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찬성한다는 응답은 10%에 불과했습니다.
연구소 측은 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주의 성향에 대한 중요한 견제"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한국의 대미 투자에 대해서 미국인들의 62%가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과 방위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는 데 대해선 절반 이상인 56%가 찬성했지만, 30%는 방위 기술 공유를 더 엄격히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미 동맹이 미국의 국가안보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전체의 63%가 그렇다고 답해 지난해 조사 결과 68%보다 소폭 낮아졌습니다.
응답자의 60%는 주한미군의 규모를 유지하거나 더 늘려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고,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46%는 북한이 비핵화하더라도 주한미군은 유지 또는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미국인들이 한미동맹을 단순한 대북 방어 수단으로 보지 않고 중요한 지역 안정화 장치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소 측은 분석했습니다.
한국의 자체 핵무장에 대해서는 전체의 50%가 반대 의사를 나타냈고, 20%만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사진=KEI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