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서울시가 재건축, 재개발 절차를 단축해 2031년까지 주택 31만 호를 착공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추가로 지정할 계획이 없다고도 밝혔습니다.
윤나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재건축 사업을 추진하는 서울 여의도 대교 아파트.
기존 절차대로라면 2017년 안전진단을 통과했기 때문에 2036년에나 착공에 들어갈 수 있었지만, 착공 시점이 6년이나 앞당겨졌습니다.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정비사업 과정이 대폭 단축됐기 때문입니다.
서울시는 1차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재건축 등 정비사업 기간을 5년 6개월 줄인 데 이어 추가로 1년을 더 단축시키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른바 신통기획 2.0입니다.
통합심의 전에 진행하는 환경영향평가 초안 검토회의를 생략하는 등 인허가 절차 간소화와 협의·검증 신속화, 이주 촉진 조치 등을 통해, 18년 6개월 정도 걸리던 정비사업 기간을 12년으로 줄이겠다는 게 목표입니다.
이 조치가 적용되면 2031년까지 31만 호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수요가 몰리는 이른바 '한강벨트'에 19만 8천 호를 집중착공할 수 있다고 서울시는 밝혔습니다.
[오세훈/서울시장 : 시민 여러분이 원하는 지역에 충분한 물량을 공급하는 것입니다. 그것이야말로 서울의 주택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시장을 안정시키는 길입니다.]
전문가들은 정비사업의 속도를 높여 공급을 확대하는 건 바람직하다면서도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습니다.
[박합수/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 주택 가격 안정을 위해서는 아파트를 조기에 공급하는 그런 전략이 가장 지금 핵심적인 대책이라고 할 수가 있고.]
[김규정/한국투자증권 부동산부장 : 여러 가지 지역에서 가격대별로 좀 다양하게 공급 계획이 세워져야 할 것 같은데 좀 치우침이 있지 않을까.]
오세훈 시장은 최근 집값이 급등하고 있는 성동구와 마포구 등을 추가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은 없다고 못 박았습니다.
(영상취재 : 김원배, 영상편집 : 유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