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2년 전 겪었는데도 왜…속속이 드러나는 문제점

전형우 기자

입력 : 2025.09.29 20:15|수정 : 2025.09.29 22:26

동영상

<앵커>

화재 한 번으로 나라 곳곳이 멈춰 서면서, 이렇게 중요한 시설을 그동안 정부가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2년 전 비슷한 사건을 겪고도 전산망을 이중으로 구축하지 않는 등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전형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불이 난 대전 국정자원 센터는 1,2등급 주요 시스템을 하루에 한 번 백업하지만, 나머지 시스템은 한 달에 한 번만 광주센터로 데이터를 옮깁니다.

이번 화재로 손상된 데이터들은 지난 8월 31일이 마지막 백업 시점이라, 백업되지 못한 일부 데이터가 유실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 전체시스템에 대해서 백업을 하느냐, 백업을 한 달 주기로 하느냐 하루 주기로 하느냐, 실시간으로 하느냐 이런 것들이 전부 다 변수입니다.]

정부는 우선 복구된 73개 시스템 중에는 데이터 유실이 없었다고 밝혔지만, 이번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아 완전히 소실된 96개 시스템의 경우 정확한 피해 범위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년 전 발생했던 정부 행정망 마비 사태의 근본 대책으로 내놨던 전산망 이중화 시스템.

정부는 올해 말까지 시범사업으로 진행하던 중에 화재가 발생했다고 해명했지만, 이렇게 중요한 시스템 구축이 왜 이렇게 늦어졌는지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염흥열/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명예교수 : (2년 전 사태 때) 이렇게 앞으로 구축하겠다고 얘기했지만, 구축을 실제로 시행하는 부분이 생각보다 늦어진 것 아닐까.]

10년의 사용 연한을 넘긴 배터리 관리도 도마에 올랐습니다.

정부는 1-2년 정도 배터리를 더 쓸 수 있다고 봤다지만, 리튬이온 배터리의 화재 위험성을 고려하면 안일한 판단이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염흥열/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명예교수 : (리튬이온 배터리는) 굉장히 불안정한 배터리입니다. 10년이라고 제조업자가 권고를 했다면 그걸 적절하게 바꿔줄 필요성이 있고.]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로 여러 문제점이 드러난 만큼 정부가 예상하는 기간 내에 완전한 시스템 복구가 이뤄지기 어려울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백승주/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손실의 범위조차도 제대로 파악이 안 된 상태이기 때문에, 한두 달 안에 복구하기는 어렵습니다.]

불과 몇 년 전 잇따라 벌어졌던 전산망 마비 참사에도 다시 비슷한 사태가 반복된 만큼 앞으로 정부 대응은 이전과 달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최혜란)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