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인 경찰이 최초 발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일부 배터리 안정화 작업을 마치고 본격적인 화재 원인을 조사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최초 발화한 것으로 의심되는 무정전·전원(UPS)용 리튬이온배터리 6개 중 3개를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으로 보내 정밀 감식을 의뢰했습니다.
경찰은 불이 난 전산실에서 최초 발화한 것으로 의심되는 배터리 6개를 반출해 수조에 담아 잔류전류를 빼는 안정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 중 3개에서는 잔류전류가 더 확인되지 않아 국과수로 보냈고, 나머지 3개는 현재까지 안정화 작업 중입니다.
경찰은 이 배터리 6개를 화재 현장 발화부로 보고 배터리에 발화 흔적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할 방침입니다.
현장에서 확보한 공구 등은 국과수 감정이 진행 중입니다.
앞서 경찰은 지난 27일 화재가 완전히 진압된 뒤 대전경찰청 형사과장 등 20여 명으로 전담수사팀을 꾸린 뒤 오늘까지 세 차례의 현장 감식을 진행했습니다.
서울청 리튬전지 전담과학수사요원 3명이 추가로 투입돼 배터리에서 불꽃이 튄 이유와 배터리 분리 당시 구체적인 상황 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배터리를 옮기던 중 불이 난 만큼 작업상 문제나 안전조치 미비, 혹은 배터리 자체 결함 여부 등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전담수사팀장인 김용일 대전청 형사과장은 "배터리에서 자체 발화한 것인지, 전선 등 외부에서 불이 시작돼 배터리로 옮겨 붙은 것인지도 추가로 감정을 해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경찰은 화재 당일 전산실에 있었던 배터리 이전 관련 업체 관계자 7명을 지난 27일부터 잇달아 불러 조사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당시 현장에 13명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현재까지 형사 입건된 관계자는 없습니다.
경찰은 전산실 폐쇄회로(CC) TV 영상도 확보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CCTV에는 불이 나기 전후의 전반적인 영상이 담겨 있으나, 불이 난 곳을 정확히 비추는 화면은 없다고 경찰은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과수 정밀감식을 통한 정확한 발화 지점 확인과 원인 규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작업자들은 "배터리 전원을 끄고 작업했다"고 진술했는데, 이 역시 배터리가 불에 녹아 맨눈으로는 확인할 수 없어 감식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경찰은 국정자원에서 배터리 등 사업 관련 자료를 임의 제출받아 분석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내일(30일)도 화재 현장에서 4차 감식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경찰 관계자는 "오늘 감식에서는 발화 의심 지점을 정밀하게 살폈다"며 "내일 진행할 4차 감식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