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경찰, 국정자원 화재 현장 관계자 불러 조사…CCTV 분석도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09.29 10:54|수정 : 2025.09.29 10:54


▲ 지난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소방대원이 오가고 있다.

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 원인을 조사하는 경찰이 현장 관계자들을 상대로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오늘(29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화재 발생 이틀째인 지난 27일부터 화재 당시 전산실에 있었던 작업자 7명을 잇달아 불러 조사했습니다.

이들은 배터리 이전과 관련된 업체 관계자들입니다.

아직 국정자원 관계자는 조사하지 않았습니다.

행정안전부는 당시 현장에 13명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현재까지 형사 입건된 관계자는 없습니다.

경찰은 전산실 폐쇄회로(CC) TV 영상도 확보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CCTV에는 불이 나기 전후의 전반적인 영상이 담겨 있으나, 정확히 불이 난 곳을 비추는 화면은 없다고 경찰은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의 정밀 감식을 통해 정확한 발화 지점과 원인을 규명할 방침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당시 작업이 배터리 전원을 끄고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도 배터리가 불에 녹아 맨눈으로는 확인할 수 없어 감식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다만 작업자들은 "전원을 끄고 작업했다"고 진술했습니다.

경찰은 국정자원에서 배터리 등 사업 관련 자료를 임의 제출받아 분석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오늘 오전 추가 정밀 감식에 나섰습니다.

초진이 선언된 지난 27일부터 사흘째 이뤄지는 것으로, 오늘은 발화 의심 지점을 정밀하게 살핀다고 경찰은 설명했습니다.

최초 발화한 것으로 의심되는 배터리 6개에 대해서는 잔류 전류를 빼는 안정화 작업이 이뤄지고 있으며, 조만간 국과수에 감식 의뢰합니다.

이에 앞서 현장에서 확보한 공구 등은 감식이 진행 중입니다.

오늘 취임한 최주원 대전경찰청장은 "전문가들의 검증을 거쳐 국민이 수긍할 수 있는 결과를 내도록 철저히 수사하겠다"며 "이런 사고가 다시 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수사의) 목적으로, 여러 기관과 협업해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