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최근 10년간 실질소득 증가율, 20대만 1%대"

이현영 기자

입력 : 2025.09.29 09:22|수정 : 2025.09.29 09:22


▲ 채용시장

체감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을 세대별로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오늘(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4∼2024년)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1.9%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습니다.

이어서는 40대(2.1%), 50대(2.2%), 30대(3.1%), 60대 이상(5.2%) 순으로 낮았습니다.

20대는 실질소득 증가 추세도 둔화하는 모습입니다.

과거 5년(2014∼2019년)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2.6%였지만 최근 5년((2019∼2024년)은 연 1.1%를 기록하는 데 그쳤습니다.

세대별 월평균 실질소득 (사진=한경협 제공, 연합뉴스)
한경협은 20대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이 청년층 고용의 질적 저하와 체감물가 상승으로부터 비롯된다고 분석했습니다.

먼저 최근 10년간 20대의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모든 세대 중 가장 낮았습니다.

같은 기간 청년층의 실업률은 3.2% 포인트(9.0%→5.8%) 낮아졌고, 고용률도 3.6% 포인트(57.4%→61.0%)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근로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정규직 비율이 11.1% 포인트(32.0%→43.1%) 늘어나는 등 고용의 질이 떨어진 것이 청년층 실질소득의 낮은 증가율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외식비 상승에 따른 체감물가 상승도 20대 실질소득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습니다.

가처분소득과 체감물가를 5년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20대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 3.8%에서 2019∼2024년 연 4.0%로 0.2% 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그러나 20대 체감물가 상승률은 2014∼2019년 연 1.1%에서 2019∼2024년 연 2.8%로 뛰면서 2배 넘게 뛰었습니다.

결국 명목 가처분소득 상승효과가 상쇄돼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오히려 하락했다는 것이 한경협의 설명입니다.

청년층 주요 소비지출 항목 (사진=한경협 제공, 연합뉴스)
한경협은 가파른 음식·숙박비 상승을 20대 체감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습니다.

2019∼2024년 '음식·숙박' 물가는 식사비를 중심으로 연 4.0% 올랐는데 이는 소비 지출 항목 중 '식료품·비주류 음료'(5.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체감물가 개선을 위한 외식 물가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한경협 관계자는 "고용훈련, 양질의 고용 창출 여력 확대 등 질적 제고를 위한 노동시장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며 "할당관세, 농산물 유통 구조 개선 등을 통해 식재료비 원가 부담을 줄임으로써 외식 물가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한경협 제공,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