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의정 갈등으로 흉부외과 전공의 37%↓…전공의 있는 병원 25%↓"

한승희 기자

입력 : 2025.09.25 14:43|수정 : 2025.09.25 14:43


▲ 전공의 복귀한 충북대병원

의정 갈등 이후 흉부외과 전공의 수가 37%가량 줄어들고 전공의를 보유한 수련병원은 25% 감소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는 이 같은 자체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사실상 붕괴하고 있는 지역 흉부외과 수련 시스템을 재건하기 위한 국가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학회에 따르면 지난해 의대 증원과 전공의 집단사직 등 의정 갈등을 거치며 전국 흉부외과 전공의 수는 36.5% 줄었습니다.

갈등 직전인 지난해 2월 전국 1∼4년 차 흉부외과 레지던트 수는 총 107명이었지만 이달 초 기준으로는 68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에서 수련 중인 전공의가 42명, 경기·인천 지역이 12명, 대구·경북 3명, 부산·울산·경남 지역이 3명, 대전·충남 6명, 광주·전남 1명, 전북 1명이었습니다.

전공의 수는 줄었지만 수도권 비중은 늘어났는데, 의정 갈등 전 수도권 전공의 비율은 107명 중 79명으로 73.8%였지만 이달 기준으로는 79.4%였습니다.

학회는 "대구·경북 지역 수련 전공의가 의정 갈등 전 10명에서 현재 3명으로 줄어드는 등 지역 인력 유출이 발생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 1∼4년 차 전공의가 모두 수련 중인 병원은 존재하지 않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심장 수술을 시행하는 수련병원 중에서는 전공의가 한 명도 없는 곳이 7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정 갈등 전보다 더욱 늘어난 수치로, 이전에는 89개 병원 중 28곳이 전공의를 보유했지만, 갈등 후에는 21곳만이 전공의 수련을 유지하고 있어 나머지 68곳은 '전공의 제로' 상태입니다.

학회는 "의정 갈등 이후 필수 의료 기피가 심화하며 지역 전공의 이탈과 미복귀가 이어졌다"며 "이 추세가 계속되면 지역 심혈관·폐암수술 등 중증 응급진료체계가 붕괴하고 환자 사망·합병증 위험이 현실화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는 필수의료법만으로는 이미 붕괴된 지역 기반을 복구하기 어려우므로 국가 차원의 실태 조사와 비상 대책, 즉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