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ELS 수요 회복…상반기 파생결합증권 잔액 5.7조 증가

노동규 기자

입력 : 2025.09.24 10:23|수정 : 2025.09.24 10:23


▲ 금융감독원

올해 상반기 국내 증시 상승세에 주가연계증권(ELS) 등 수요가 일부 회복하면서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이 작년보다 늘어났습니다.

24일 금융감독원의 '2025년 상반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에 따르면 상반기 말 잔액은 87조 2천억 원으로 작년 말 대비 5조 7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상반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34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6조 5천억 원 증가했으며, 상환액은 26조 1천억 원으로 13조 3천억 원 감소했습니다.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은 21조 7천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조 5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금감원은 "올해 들어 국내외 주가 상승과 금리 인하에 따라 ELS 투자수요가 일부 회복한 영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원금비보장형 비중은 작년 43.3%에서 올해 46.5%로 증가했으나, 이중 공모발행 비중은 작년 86.5% 대비 소폭 줄은 84%를 기록했습니다.

원금지급형 발행액은 11조 6천억 원으로, 직전 반기 28조 8천억 원에 비해 절반 이상 줄었습니다.

작년 하반기 연말 퇴직연금 편입 차환 수요가 집중돼 기저효과가 있던 탓입니다.

주요 기초자산별로는 지수형 ELS 발행액은 11조 3천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조 1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비중도 52.2%로 1.7% 포인트(p) 늘었습니다.

종목형 ELS 발행액은 9조 2천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조 2천억 원 늘었지만, 비중은 1.4% p 감소한 42.6%로 집계됐습니다.

주요 기초자산별 발행액은 코스피200(8조 9천억 원), S&P500(8조 원), 유로스톡스50(7조 2천억 원), 닛케이225(2조 7천억 원) 순이었습니다.

코스피 비중은 작년 상반기 73.9%에서 71.4%로 줄었고, S&P500은 62.5%에서 64.4%로 증가했습니다.

닛케이225도 16%에서 21.7%로 늘었습니다.

금감원은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로 해외지수 기초 ELS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외지수 비중이 증가하고 코스피200 비중이 소폭 감소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상반기 발행된 ELS는 일반공모가 8조 4천억 원(38.5%), 은행신탁이 6조 6천억 원(30.5%) 순으로 인수됐습니다.

작년 홍콩 H지수 사태 이후 은행권 ELS 판매가 중단돼 일반 공모(증권사) 비중이 증가 추세입니다.

ELS 전체 상환액은 18조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조 9천억 원 감소했습니다.

H지수 기초 ELS 만기상환이 작년 상반기에 집중된 기저효과 때문입니다.

발행잔액은 53조 6천억 원으로 작년 말 대비 1조 9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파생결합증권(DLS) 발행액은 12조 3천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조 원 증가했습니다.

저금리 환경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예금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어, 원금지급형 발행액은 작년보다 3조 2천억 원 증가한 10조 6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DLS 상환액은 8조 1천억 원으로 작년보다 1조 5천억 원 증가했고, 발행 잔액은 33조 6천억 원으로 3조 7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ELS 투자손익률은 연 5.3%, DLS 투자손익률은 연 3.3%로 각각 작년 동기보다 12.6% p, 1.3% p 증가했습니다.

H지수 기초 ELS가 작년 대부분 상환돼 ELS 투자수익률이 손실에서 이익으로 전환됐습니다.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 및 운용 손익은 967억 원이 증가한 4천679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투자 수요 증가로 인해 파생결합증권 발행 규모 자체가 증가한 덕분입니다.

금감원은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에 따른 투자자 손실 우려를 감안해 ELS 발행 동향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파생결합사채 관련 투자자 위험 고지도 강화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