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친절한 경제] 억소리 나는 성과급…'우르르' 고3도 움직였다

한지연 기자

입력 : 2025.09.22 09:12|수정 : 2025.09.22 13:49

동영상

<앵커>

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대기업이랑 중소기업 연봉 격차가 더 커졌다면서요?

<기자>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지난해 222만 6천 원이었던 게 올해 상반기 246만 원으로 더 벌어졌습니다.

먼저 올해 상반기 전체 임금 상승률이 더 오르기는 했습니다.

1월부터 6월까지 418만 8천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5% 인상됐는데요.

작년 상반기에 전년 대비 2.2% 올랐는데 그것보다 1.3%포인트 더 오른 거니까, 상승률 자체가 커지면서 기업 규모별 격차도 더 커진 겁니다.

300인 이상 사업체의 월평균 임금 총액은 619만 9천 원으로 지난해보다 5.7% 올랐는데, 300인 미만은 그것의 절반도 안 올라서, 373만 9천 원에 그쳤습니다.

이에 따라서 격차가 246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23만 4천 원 더 벌어졌습니다.

왜 이렇게 격차가 더 커진 거냐, 상반기에 몇몇 기업들 억 소리 나는 성과급 기억하실 겁니다.

올해 상반기 대기업들의 높은 특별급여 인상률이 전체 임금 상승률을 끌어올렸는데요.

정액 급여가 3.4% 오른 사이에 특별급여는 12.8%가 올랐습니다.

이에 비해 중소기업은 정액 급여 2.6%에 특별급여도 3%에 그쳤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이자 장사로 최고의 실적을 보이고 있는 곳이죠.

금융·보험업이 임금과 인상률 모두 1위를 차지했는데요.

월평균 임금이 805만 1천 원인데 전체 근로자 임금의 두 배 가까이 되고요.

인상률도 7.2%를 기록했는데, 특히 특별급여 인상률도 16%나 돼서 전 업종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앵커>

이런 대기업 연봉 수준이 취업 준비생뿐만 아니라 고3 수험생들에게도 영향을 준다면서요?

<기자>

'성과급 1억 시대'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기업 보상이 관심인데 그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2026학년도 대학 수시 모집을 보면 SK하이닉스 계약학과 경쟁률이 모든 대기업 계약학과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기업 계약학과가 일단, 뭔가 하시는 분들도 있으실 거 같아서 설명을 드리면요.

말 그대로 입학을 하게 되면 해당 대기업 취업을 보장되는 학과인데요.

등록금 전액 면제, 생활비 지원, 연수 기회도 제공됩니다.

그런데 7개 대기업 계약학과 지원자 수가 전년 대비 260명 정도 늘어서 8천900명 가까이 됐는데요.

평균 경쟁률은 21대 1에 육박했습니다.

그중에서 최근 노사 합의에서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으로 배분해서 올해 직원 1인당 약 1억 원 보상이 예상되는 SK 하이닉스 평균 경쟁률이 세졌습니다.

평균 경쟁률이 30대 1이 넘어서, 전년도 28대 1보다 상승했습니다.

반면 삼성전자 계약학과는 18대 1 정도로 전년도 21대 1보다 떨어졌습니다.

지원자 수 역시 삼성전자가 9.7% 줄 동안, SK 하이닉스는 22.2%가 늘었는데요.

기업의 실적과 보상 체계가 학생들 선택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입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기업들이 경력직을 선호하는 현상이 여전한 모양이죠?

<기자>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살펴봤더니 올해 하반기 신규 채용 계획에서 경력직을 얼마 정도 뽑을 거냐고 했더니 27%에 육박했습니다.

계획이 이렇다는 거고요.

막상 뽑아놓고는 더 많아질 수도 있는 게 지난해 대졸 신입 직원을 봤더니 28.1%는 이미 경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년 전 조사보다 2.3%포인트 오른 수준입니다.

그럼 얼마나 경력을 쌓다 왔는지 그 기간을 봤더니, 1~2년 사이가 46%가 넘어서 가장 많았고, 2~3년과 3년 이상 긴 경력이 있는 신입사원도 각각 8%, 5% 정도였습니다.

다만, 기업 매출액 순위가 낮을수록 좀 더 긴 경력을 선호했는데요.

200대 기업까지는 경력 2~3년이 하나도 없는 반면에 300에서 500대 기업에서는 12.2%를 기록했습니다.

정말 몇몇 대기업에서 하반기 공채 규모를 늘리고는 있지만, 수시채용 계획이 있다는 기업 비중은 절반에 육박했습니다.

수시 채용은 수요에 따라서 수시로 채용하는 방식이라 경력자들한테 더 유리할 수 있는데요.

수시 채용 계획이 있다고 한 기업들은 수시 채용과 공개 채용 비율이 대략 80대 20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