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내일(16일)부터 미국에 수출되는 일본의 자동차 관세가 15%로 낮아집니다. 대미 투자펀드 구성과 수익 배분을 놓고 우리 정부와 미국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25% 관세를 적용받는 우리 자동차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더 불리한 상황에 놓였습니다.
김관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에서 연간 5만 대 팔리는 현대차의 쏘나타는 동급인 도요타 캠리보다 1천500달러 저렴합니다.
현재 미국은 일본에는 27.5%, 한국에는 25%의 자동차 관세를 매기고 있는데, 관세협상 합의에 따라 내일부터 일본산 자동차에 15%의 관세가 적용되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현재 판매 가격에 단순히 관세를 얹어 계산하면 쏘나타가 캠리보다 비싸지는 겁니다.
현대차와 기아의 2분기 영업이익은 1조 6천억 원 감소했는데, 일본차 대비 가격경쟁력 우위마저 사라지면 실적 타격은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미국과의 관세 협상은 3천500억 달러 투자펀드의 구성과 이익 배분 등을 놓고 교착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성과 없이 미국에서 돌아온 가운데, 오늘 미국으로 떠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협상 전망에 대해 말을 아꼈습니다.
[여한구/산업통상자원부 통상본부장 : 전방위로 우리 할 수 있는 최선은 다해야 되기 때문에 이제 그렇게 이해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일본처럼 미국의 요구대로 3천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를 대부분 현금으로 투입하는 건, 외환보유액 급감이나 외환시장 불안을 초래해 우리로선 수용하기 어렵습니다.
때문에 국내외에서 차라리 관세를 맞고 피해를 보는 업종을 지원하는 게 낫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지만, 미국의 추가 보복과 후방 산업 피해 확산 등 거센 후폭풍에 시달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장상식/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미국과 일본의 협상 타결한 내용이 기준점이 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익의 균형을 찾아가려면 좀 시간이 걸릴 거라고 판단이 됩니다.]
정부는 국익에 반하는 합의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이어서, 대미 최대 수출 품목인 자동차 분야의 어려움은 당분간 감내해야 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영상취재 : 강시우, 영상편집 : 김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