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우리 국민들이 귀국길에 오르긴 했지만, 미국 이민 당국의 무리한 단속에 대한 비판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이민 당국이 합법적인 비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까지 체포해 구금했고, 이런 사실을 알고도 자진 출국을 강제했단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
보도에 김경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주 미국 이민 당국의 조지아주 서배나 급습은 군사작전을 방불케 했습니다.
[스티븐 슈랭크/미 국토안보수사국 특별수사관 : 불법 고용 혐의에 대한 수사의 일환으로 사법적 수색영장을 집행했습니다.]
엄정한 법 집행을 강조했던 이민 당국이 이날 싹쓸이식 체포로 합법적인 비자 소지자까지도 구금했단 사실을 알고 있었단 폭로가 나왔습니다.
영국 가디언은 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 가운데 최소 1명 이상이 비자 규정을 위반하지 않았다는 내용의 이민 당국 내부 문건을 입수했다고 밝혔습니다.
ICE 요원이 작성한 이 문건에 따르면 B-1 비자로 입국한 A 씨가 비자 규정을 위반한 사실이 없다는 걸 당국이 확인하고도 A 씨에게 자진 출국을 강제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미 국무부 매뉴얼에서도 B1 비자 소지자의 직접적인 건설·건축 작업이 아닌 현장 관리감독이나 현지인 교육은 허용돼 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 있었다는 이유로 당시 회의실에서 회의 중이던 직원들까지 모두 끌고 갔다는 게 업체 측의 주장입니다.
[당시 현장에 있던 동료 직원 : (불법 노동자를) 분류한 게 아니라 사무실 인원들 다 나와, 공장 인원들 다 나와, 한 자리에 묶어 놓고 신분증이랑 여권 확인만 하고 (잡아갔습니다.) 엉망진창이에요.]
이에 대해 국토안보부는 "해당 직원이 불법 취업 사실을 인정하고 자진 출국에 동의했다"고만 밝혔다고 가디언은 덧붙였습니다.
신문은 한국인 구금자들 가운데 A 씨 같은 불법 체포 피해자들이 얼마나 있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면서, 이번 사태가 이민 당국의 실적 부풀리기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을 지적했습니다.
(영상편집 : 우기정, 디자인 : 강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