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한미 외교장관 곧 회동…미국 비자 정책 개정 이어질까?

김용태 기자

입력 : 2025.09.10 20:10|수정 : 2025.09.10 21:51

동영상

<앵커>

잠시 뒤 미국에서 조현 외교장관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만납니다. 구금 사태가 발생한 이후 우리와 미국 사이에 첫 고위급 대면 외교가 이뤄지는 겁니다. 구체적인 귀국 일정과 함께 비자 제도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도 관련 부처가 공동으로 비자 문제를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워싱턴 김용태 특파원입니다.

<기자>

서둘러 미국을 찾은 조현 외교장관은 예상됐던 일정보다 하루 늦어진 한국 시간 오늘(10일) 밤에 루비오 국무장관을 만납니다.

석방과 귀국이 갑자기 취소된 만큼 우선 미국 측 설명을 듣고 조속한 출발을 다시 요청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한미 외교장관 간 만남을 통해 불이익이 따르는 추방이 아니라, 자진 출국 형식으로 구금자들을 귀국시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앞서 조 장관은 워싱턴에서 기업인 간담회를 열고 한국인 전문 인력 대상 별도 비자(E4) 신설 등의 개선 방안을 논의했는데, 이런 우리 기업들의 요구사항을 미국 측에 전달할 예정입니다.

미국도 비자 정책 개정 가능성을 시사한 상태입니다.

[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국토안보부와 상무부가 이 문제(비자 문제)에 함께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민 정책을 총괄하는 국토안보부와 외국 기업을 상대하는 상무부가 미국에 투자하는 기업의 출입국 문제를 들여다보고 있다는 뜻으로, 현재의 취업비자 제도가 기업들의 인력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걸 사실상 인정한 셈입니다.

[캐롤라인 레빗/백악관 대변인 : (기업들이) 고도로 숙련된 노동자를 데려오기를 원한다는 걸 (트럼프 대통령은) 이해합니다. 특히 반도체 같은 특수한 제품이나 조지아에서 배터리를 만들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다만 미국이 비자 발급 확대 조건으로 미국인 채용과 훈련을 제시한 만큼, 어떤 수준에서 양측의 합의가 이뤄지느냐가 관건입니다.

(영상취재 : 오정식, 영상편집 : 이승열)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