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청양의 한 야산.
단풍이 든 듯 모든 소나무의 잎이 시뻘겋게 변했습니다.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돼 수백 그루의 소나무가 집단으로 고사한 겁니다.
[전성희/청양군 산림보호팀장 : 보시면 여기 다 빨갛게 쳐져서 보이시잖아요. 이런 나무들이 다 고사됐다고 보시면 됩니다.]
소나무재선충병이 심각한 건 청양뿐 아닙니다.
태안과 보령 서해안지역부터 청양 등 내륙지방까지 충남에 소나무재선충병이 광범위하게 확인되면서 지자체에서 긴급하게 방제를 했는데, 그 건수가 모두 3,580건으로 지난해에 비해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지난해엔 불과 감염이 4건 발견됐었던 대전도 이미 대청호 인근에서 백 그루가 넘는 대규모 재선충병 감염목이 나오며 비상에 걸렸습니다.
올해 소나무재선충병이 감염돼 고사한 소나무입니다.
방역을 위해 30미터 반경 소나무 수십 그루를 모두 베어야 합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솔수염하늘소 등 매개체에 기생하는 선충으로 인한 감염병으로, 치료제가 없어 감염되면 100% 치사율을 보입니다.
즉시 방제해야 하는 감염병이지만, 사유지 안의 고사목들은 주인의 허락이 없으면 방제를 할 수 없는 등 법적인 한계가 존재합니다.
[배명준/청양군 산림자원과장 : (소나무재선충병) 감염지에 대한 산주 동의 부분이 제일 어려움이 많습니다. 동의 없으면 사실상 방제 불가하다. 이렇게 판단하면 될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방제 속도보다 확산 속도가 더 빨라졌는데, 충남에서 감염목이 지속적으로 늘면서 소나무재선충병이 충북과 경기도 등 내륙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될 가능성까지 높아지고 있습니다.
[박정아/충남도 산림휴양과 : 방제 속도보다 지금 확산 속도가 빠른 편이에요. 국가선단지로서 보호해야 할 곳이기 때문에 산림청에서도 예산을 많이 투입해 줄 예정이라고.]
[정규원/전 한국산림기술인회 회장 : 경관이나 생태적으로 중요 지역, 문화적 자산이 중요한 지역을 먼저 예방차원에서 방제하고, 일반 지역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 하는 생각이 듭니다.]
소나무재선충병으로 지난해 고사한 소나무류는 전국에서 400만 그루를 넘어서며 한반도의 산림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취재: TJB 박범식, 영상취재: TJB 최운기,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TJ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