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질병청장 "AI로 밀접 접촉자 자동 선별…의심증상자도 분류"

최고운 기자

입력 : 2025.09.09 15:09|수정 : 2025.09.09 15:09


▲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이 9일 충북 청주 오송의 질병청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이 감염병 대응을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임 청장은 오늘(9일) 충북 청주 오송의 질병청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었습니다.

임 청장은 미래 감염병 위기에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 감염병 위기 대응체계를 재구조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감염병 환자 역학조사시 AI를 활용해 밀접접촉자를 자동선별하고 검역과정에선 AI 검역관이 입국자 중 의심 증상자를 자동 분류해 입국 과정의 편리성을 제고하겠단 계획입니다.

특히 데이터 과학을 중심으로 질병청 업무를 과감히 혁신하겠다며, 청장을 단장으로 하는 전담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내부 업무를 칸막이 없이 연계하고 외부 기관과 연계한 빅데이터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개인 맞춤형 국가건강조사 결과 통보와 건강정보 제공,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허위 건강정보 모니터링에도 AI를 도입할 것이라며, 잘못된 정보로 인한 국민 건강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도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임 청장은 "가장 중요한 문제의식은 유행 확대에 대한 대비가 한발씩 늦는 면이 있다는 점"이라며 "위기 상황이든 아니든 지역 중심으로 의료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이 아주 본질적인 일인데 그런 부분을 좀 더 앞서서 준비하면 훨씬 더 부드럽게 대응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고민을 현장에서 갖고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지역의 보편적 의료체계 속에서 상시적으로 작동되는 운영 시스템을 구축해야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게 임 청장의 생각입니다.

임 청장은 "질병청 중심의 의료대응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위기단계에 따른 의료 대응체계를 재정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감염내과 전문의인 임 청장은 아주대 의대 교수와 경기도 의료원 안성병원장,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책단 공동단장 등을 지냈습니다.

(사진=질병청 제공,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