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미국 내 대표적인 '반 트럼프' 인사인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현지시간 26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직접 만나는 것에 강한 열망을 드러낸 것을 우려할 지점으로 꼽았습니다.
볼턴 전 보좌관은 워싱턴에 있는 한미연구소(ICAS) 주최 온라인 세미나에서 "(어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가장 우려스러운 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에 대한 지속적인 매혹과 첫 임기 중 3차례 했던 것 같이 또 다른 회담을 하는 것에 열망을 보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회담이 성사된다면 평양에서 열릴 수 있다는 게 걱정된다"며 "지리적 진행을 보면 싱가포르에서 하노이, 비무장지대(DMZ)로 이어졌다.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과 만나기 위해 가보지 않은 곳은 한 곳이 남았고, 그게 북한의 수도"라고 덧붙였습니다.
볼턴 전 보좌관은 또 "노벨 평화상을 정말 원하는 사람(트럼프)이 있는데 우크라이나(문제 해결)나, 이란 핵시설 폭격으로는 못 받을 것"이라며 "그 상을 받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잠재적 협상으로 좁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 수상을 위해 추진해 온 목표 중 하나로 러시아, 중국과의 핵 군축을 꼽은 뒤 "트럼프는 푸틴이 핵무기 폐기에 준비가 됐다고 생각하며, 중국도 동의할 것이라고 믿는 듯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생각에 빠지면 미국, 러시아, 중국을 넘어 모든 국가가 포함된다는 점이 우려된다. 그럴 경우 북한도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받는다는 뜻인데 트럼프는 그걸 생각하지 못한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볼턴 전 보좌관은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선 "두 정상 모두 암살 시도를 겪었다는 점에서 실제로 유대감이 형성된 것 같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 도중 주한미군 주둔지의 소유권 확보 가능성을 언급한 것에 대해선 "이전에도 제기된 바 있는데, 트럼프가 부동산 개발업자이기 때문"이라며 "용산 미군기지가 폐쇄된 후 일부 개발업자들이 막대한 수익을 올린 사례를 잘 알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 정부의 인텔 지분 10% 확보 등을 언급하며 "그런 관점에서 보면 그가 미국을 사업체로 활용하는 것을 보면, 그가 또 어떤 생각을 할지 상상조차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