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6년 전 경남 밀양에서도 비슷해 열차 사고가 발생해 선로 2m 안쪽에서 작업을 할 땐 열차 운행을 멈추고 한다는 안전 규정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이번 청도 열차 사고는 작업 현장이 2m 바깥에 있었고, 또다시 닮은꼴 사고가 반복됐습니다.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한 근본적 대책은 없는지, 전형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지난 2019년 10월 경남 밀양역.
선로 작업을 하던 코레일 소속 근로자 3명이 진입하던 열차에 치여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습니다.
이번 청도 열차 사고처럼 곡선 구간에서 갑자기 나타난 기차를 피하지 못해 발생한 사고였습니다.
수사 과정에서 안전 관리 의무가 소홀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코레일 법인과 코레일 관계자들이 줄줄이 처벌받았고, 2년 뒤인 2021년엔 선로 작업 중에 일어나는 사고를 막기 위한 대책까지 마련됐습니다.
선로 작업을 할 때 열차 운행을 차단한다는 게 골자인데, 선로에서 2m를 벗어날 경우 작업이 가능하다는 조건이 달렸습니다.
그런데 이 조건이 사고의 빌미가 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작업을 위해 열차 운행을 막는 게 쉽지 않아 위험한 선로 작업이 계속되기 때문입니다.
[곽상록/한국교통대 철도운전시스템학과 교수 : 원칙은 열차 운행을 중지해야 되는데 불가능하죠. 경부선이다 보니까 여객들도 많은데 열차를 차단할 수가 없는 상황이죠.]
이번 사고도 작업 현장은 위험 지역에서 2m 이상 벗어나 있지만, 선로 인근을 걸으며 이동하다 사고가 났습니다.
전문가들은 낮 시간대가 아닌 야간에 열차 운행을 완전히 차단한 뒤 선로 작업을 하는 방법만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곽상록/한국교통대 철도운전시스템학과 교수 : (선로 작업 시간을) 밤에 지금 3시간 반을 주고 있는데 막차 시간, 첫차 시간 조정하면 4시간이나 4시간 반까지 늘릴 수 있거든요.]
열차 운행 차단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열차 감시원이나 경보기가 있더라도 빠른 속도로 다가오는 기차를 미처 피하지 못하는 경우는 언제든 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김선욱/철도노조 정책실장 : 이게 (야간 작업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는 걸 서로 알고 있고 공감을 하고 있는데, 야간에 작업하려면 통상 근무를 하시는 분들이 교대제로 전환을 하셔야 돼요.]
야간 선로 작업은 추가적인 인력과 비용 문제가 발생하고, 국토부와 기재부의 승인이 필요한 만큼 안타까운 사고의 고리를 끊어내기 위한 정부의 결단이 필요해 보입니다.
(영상편집 : 최혜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