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생활·문화

커플 매니저가 완벽남을 만났을 때…"같은 사랑이란 없다" [스프]

최희진 기자

입력 : 2025.08.11 13:24|수정 : 2025.08.11 13:24

[취향저격] 사랑은 언제나 새로운 이야기 - 영화 '머티리얼리스트' (글 : 이화정 영화심리상담사)


머티리얼리스트

머티리얼리스트

우리는 사랑 이야기에 신물을 내면서도 여전히 사랑 이야기를 좋아한다. 남녀 간에 조성되는 긴장감과 거리 재기는 끝날 듯하면서도 영원히 끝나지 않는다. <머티리얼리스트>라는 제목은 물질주의자 혹은 실리주의자라는 뜻의 영어 발음을 그대로 사용해서 한글 제목만 보면, 그 의미가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단점이 있다.

<머티리얼리스트>는 <패스트 라이브즈>로 시선을 끌었던 셀린 송 감독이 두 번째로 내놓은 작품이다. 첫 번째 작품과 마찬가지로 사랑과 인연이 주제고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었다. 데뷔작인 <패스트 라이브즈>에서는 사랑이라는 적극적인 감정보다는 인연을 앞세우지만, 그 역시 과거의 흔적을 더듬는 아련한 사랑 이야기다. <머티리얼리스트>는 처음부터 사랑과 결혼의 경계선을 분명하게 긋는다. 그리고 결혼은 애초부터 비즈니스였으니 손익을 따지며 결혼 상대를 고르는 작업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주장한다.

커플 매니저 루시(다코타 존슨)는 겉으로는 완벽해 보이고 결혼에 이르는 길을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작 본인은 결혼 의사가 없어 보인다. 완벽한 외모, 조금의 틈도 보여주지 않는 말솜씨, 감정의 흔적을 발견할 수 없는 표정이 그녀가 어떤 사람인지 궁금하게 만든다. 길거리에서 멋진 남성과 마주치게 되면 눈길을 주지만,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다. 그녀의 눈에는 결혼 시장에서 잘 팔릴만한 상품으로 보인다. 결혼정보회사에서 매칭은 남녀가 원하는 바를 반영해야 하지만 그들이 제시하는 조건은 황당할 정도다. 그래서 결혼까지 가는 고지는 멀기만 한다. 현실과 이상의 엄청난 차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 바로 커플 매니저이고 루시는 그 일에 능숙하다. 그래서 다른 커플 매니저에 비해 성혼율이 높다.

위기의 상황에서 그녀가 사용하는 문장, "상대가 자신의 가치를 높여주는 사람이니까요."는 자신이 내린 결정에 의심을 품는 고객에게 근사한 방어막을 선사한다. 계산적으로 상대를 골랐다는 자책감을 한순간에 날려버리는 마력을 지닌 말이다. 그런데 그 가치라는 말이 다르게 쓰일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순간이 이 영화의 반전이라면 반전이고, 이상형과 완벽한 미래를 꿈꾸는 모든 사람에게 던지는 화두이기도 하다.

두 남자 사이에서 자신의 감정을 헤아려보는 여자 주인공이 현 남친을 옆에 두고 전 남친을 바라보는 컷, 현관 앞 계단을 배경으로 한 장면들이 셀린 송 감독의 데뷔작인 <패스트 라이브즈>을 연상시킨다. 루시는 단지 비슷한 조건의 커플을 매칭시켜 줄 뿐만 아니라, 만남에 지친 고객에게 운명 같은 사랑을 만날 수 있다는 환상을 유지하게 만든다. 하지만 루시 본인은 이미 조건 없는 사랑에 실패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감정을 자제한다.

그런 루시 앞에 완벽남이 등장한다. 해리(페드로 파스칼)는 업계에서 '유니콘'이라 불리는, 외모, 재산, 학벌, 능력을 모두 갖춘 흠잡을 데 없는 신랑감이다. 루시는 해리를 우수 고객으로 점찍었는데, 그는 루시에게 관심을 보인다. 루시는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상대라고 생각하지만 사귀지 않을 이유가 없다. 그런데 완벽남을 만났을 때, 비로소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인지 깨닫는다는 결말은 아이러니지만 낯설지 않다. 많은 로맨스 영화에서 봐왔던 결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셀린 송 감독은 동시대에 맞는 배경 위에서 현대적인 감성과 계산법을 통해 서사를 진행해, 식상함을 피해 간다. 셀린 송 감독은 우연처럼 시작된 서사를 어렵지 않게 풀어가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할리우드 고전 영화처럼 갈등을 서서히 고조시키다가 결말 부분에서 모든 갈등이 봉합되는 쾌락을 투척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풀어간다. 그 점이 셀린 송 감독 영화의 매력이다. 사랑이냐 조건이냐에 대한 해묵은 갈등을 셀린 송 감독은 현대사회에서 출현할 수밖에 없는 결혼정보회사를 배경으로 다시 꺼내놓는다. 그리고 결혼정보회사의 허점에 대해서도 지적하고 있다. 고객의 인성이나 성격까지 파악하기는 불가능하니 예기치 못한 불상사도 발생할 수 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