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팸 본디 법무부 장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016년 미 대선에 러시아가 개입했다는 '러시아 게이트'의 조작 의혹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러시아가 트럼프 당시 공화당 대선 후보를 돕기 위해 대선에 개입했다는 러시아 게이트와 관련해 이 같은 의혹이 사실무근인데도 당시 오바마 행정부와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가 이를 조작·이용했는지를 규명하겠다는 것입니다.
폭스뉴스와 AP통신 등에 따르면 팸 본디 법무부 장관은 최근 연방검찰청 소속 검사에게 이 사건에 대한 조사를 지시했습니다.
해당 검사는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 국장이 폭로한 기밀자료 등을 검토해 대배심에 넘길 예정이며, 대배심이 승인할 경우 기소가 이뤄지게 됩니다.
기소될 경우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시절의 민주당 측 고위 인사들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되지만, 구체적인 사항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법무부 대변인은 본디 장관이 개버드 국장의 고발 내용에 "심각한 우려를 낳을 명백한 사유"가 있으며, 이 때문에 '다음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폭스뉴스에 말했습니다.
앞서 개버드 국장은 지난달 23일 백악관 대변인 언론 브리핑에 참석해 오바마 행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한 2016년 대선에 러시아가 개입했다는 취지로 정보를 조작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개버드 국장은 "모든 자료를 법무부와 연방수사국(FBI)에 넘겨 범죄에 해당하는지 조사하게 할 것"이라며 "우리가 발견하고 공개한 증거는 오바마 전 대통령이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 관련) 정보 평가를 만드는 것을 주도했다고 지목한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 게이트는 트럼프 집권 1기 때인 2019년 로버트 뮬러 당시 특별검사의 수사 결과 트럼프 대통령과 러시아의 연결고리를 찾지 못한 채 종결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 이후 다시 이 사안을 꺼내든 것은 자신이 처한 '엡스타인 의혹'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는 분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성년자 성착취범으로 2019년 수감 중 사망한 제프리 엡스타인과 오랜 기간 교분을 나눴다는 의혹과 관련해 이른바 '엡스타인 파일'의 공개 요구가 제기되고 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이에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엡스타인 의혹을 민주당 측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연관 짓는가 하면, 러시아 게이트 조작 의혹으로 오바마 전 대통령을 공격하고 있습니다.
그는 지난달 22일 백악관에서 열린 필리핀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자리에서 기자들이 엡스타인 사건 관련 질문을 하자 돌연 러시아 게이트 조작 의혹을 주장하며 오바마 전 대통령을 '조작을 주도한 사람'으로 지목하기도 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