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정치

시한 하루 앞둔 31일 협상…'조선업 중심' 새 카드 추진

강민우 기자

입력 : 2025.07.27 20:08|수정 : 2025.07.27 23:52

동영상

<앵커>

미국과의 관세 협상, 운명의 한 주가 시작됐습니다. 미국이 정한 상호관세 부과 시한이 닷새 남은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새로운 협상 카드를 추진하고 있는 걸로 전해졌습니다. 이른바 '패키지 딜'의 구성을 조선업 중심으로 바꾸는 내용입니다. 오는 31일 한미 재무장관들의 막판 협상에 관심이 쏠립니다.

오늘(27일) 첫 소식 강민우 기자입니다.

<기자>

한미 경제 수장들의 이른바 '2+2 통상 협의'가 돌연 취소되면서, 출국이 미뤄졌던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이번 주 미국으로 향합니다.

오는 31일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협상할 걸로 전해졌는데,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 시한으로 정한 다음 달 1일을 하루 앞두고 막판 협상을 벌이는 겁니다.

관세와 투자, 방위비 등 여러 의제를 묶어 패키지 딜을 제시해 온 우리 정부는, 대미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패키지를 준비 중인 걸로 파악됐습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통상 투자 분야에서 새로운 고려를 해야 될 필요가 생겼다"며, "패키지를 조정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선 협상에서는 우리 조선업에 대한 미국의 관심이 확인됐습니다.

이에 정부는, 자동차, 반도체, 배터리 등 다른 분야의 경우 일본, 타이완 등과 중첩돼 협상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는 만큼, 조선업을 중심으로 돌파할 수 있는 카드를 제시하겠다는 전략을 세운 걸로 알려졌습니다.

선박 건조나 공동 건조, 함정 유지·보수·정비 사업, 교육 프로그램 같은 광범위한 범위의 협력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게 정부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미국으로서는 한국의 우수한 조선 인프라와 인력 투여로 자국 조선업 재건을 도모하고, 차세대 함정 건조 협력 등으로 대중국 견제력도 키울 수 있어, '상호호혜적 결과'를 강조해 온 우리 정부 방침과도 부합합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 : 우리나라에 큰 혜택을 줄 수 있고, 세계의 복잡다단한 상황 속에서 여러 가지를 염두에 둔 협상에 임하라고 하는 것이 대통령의 메시지였고.]

정부는 국내 조선 업계의 대미 투자 규모를 장기적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하륭, 영상편집 : 최진화, 디자인 : 이준호)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