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생활·문화

고종이 아펜젤러에 하사한 나전 삼층장, 국가민속문화유산 된다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07.23 09:16|수정 : 2025.07.23 09:16


'나전산수무늬삼층장'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연합뉴스)
▲ '나전산수무늬삼층장'

고종(재위 1863∼1907)이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1858~1902)에게 하사했다고 전하는 전통 가구가 국가유산이 됩니다.

국가유산청은 서울 중구 배재학당역사박물관이 소장한 '나전산수무늬삼층장'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오늘(23일) 예고했습니다.

나전산수무늬삼층장은 19세기 말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가로 114.9㎝, 세로 54.6㎝, 높이 180.3㎝ 크기의 장은 검은 옻칠 바탕에 나전의 오색영롱한 빛이 정교하게 장식돼 있습니다.

'나전산수무늬삼층장' 내부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연합뉴스)
정면과 양쪽 측면은 전통 회화와 공예가 결합한 산수 문양, 문자 등이 어우러지며 6개의 문짝 안쪽에는 밝고 화려한 색채로 화초, 돌 등을 그려 넣었습니다.

나전 삼층장은 배재학당을 설립한 아펜젤러 가문에서 대를 이어 보관해 온 유물입니다.

감리회 선교사였던 아펜젤러는 1885년 조선에 와 청년들에게 영어와 신학문을 가르쳤으며, 1887년 서울에 벧엘 예배당(지금의 정동제일교회)을 설립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배재학당역사박물관은 2022년 아펜젤러의 외증손녀인 다이앤 도지 크롬 씨로부터 삼층장을 기증받았습니다.

크롬 여사는 아펜젤러의 둘째 딸인 아이다 아펜젤러의 손녀입니다.

당시 박물관 측은 아펜젤러 가문의 가계도, 소장 경위 등을 토대로 아펜젤러가 한국 근대 교육에 헌신한 공로 등을 인정해 고종이 하사한 유물이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나전 삼층장은 유래가 명확하고, 고급 재료와 정교한 기술이 더해져 있어 연구 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삼층장은 조선 후기인 1800년대 이후 왕실과 상류층에서 유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왕실의 자녀가 분가하거나 출가할 때 준비하는 생활필수품으로도 여겨졌습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19세기 말 궁중과 상류층에서 사용했던 삼층장의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자 경남 통영 가구의 전형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국가유산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검토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을 확정할 방침입니다.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