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정치

'이진숙 철회·강선우 임명' 절충안…고심 끝 묘수 될까

배준우 기자

입력 : 2025.07.20 20:43|수정 : 2025.07.20 20:43


이재명 대통령이 고심한 끝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했습니다.

이 후보자를 포기하는 대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임명을 강행하는 수순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대통령은 이 후보자를 '읍참마속'함으로써 야당의 요구를 수용하는 모양새를 취하면서도 복수 인사의 낙마로 인한 국정 동력 약화를 막기 위해 일종의 절충안을 모색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강 후보자의 임명을 둘러싼 여론의 향배에 따라 이번 선택이 '묘수'로 남을 수 있을지 평가가 달라질 것으로 관측됩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브리핑에서 "대통령은 이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며 "국회는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뜻을 존중해 조속히 후속 조치를 진행해주실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습니다.

우 수석은 이어 강 후보자를 임명하는 것으로 보면 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하며 "임명되지 않은 11명의 후보자 중 이 후보자에 대한 지명만 철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간 야권에서는 5∼6명의 장관 후보자를 결격으로 꼽으면서도 특히 이 후보자와 강 후보자를 상대로 낙마 공세를 집중적으로 펴 왔습니다.

이 후보자의 경우 제자 논문 표절 의혹, 자녀 불법 조기 유학 문제 등이 교육 수장으로서 결격 사유라는 지적을 받아 왔습니다.

강 후보자는 보좌진에 대한 갑질 의혹과 거짓 해명 논란 등이 문제가 됐습니다.

특히 두 후보자에 대해 진보 진영과 시민사회 등 민주당의 전통적인 '우군'에서도 비판 여론이 사그라들지 않았다는 점이 이 대통령의 고민을 더 깊게 했습니다.

이 후보자에 대해서는 당내 의원들이 사퇴론을 공개적으로 제기했고,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당내 보좌진 사이에서 심상찮은 기류가 감지되기도 했습니다.

이에 이 대통령은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의 면담 요구를 수용해 여야 원내대표와 회동하는 등 안팎의 의견을 두루 들으며 심사숙고를 거듭했습니다.

결국 이 대통령이 이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한 것은 새 교육부 장관감을 찾는 어려움을 감수하더라도 '국민주권정부'로서 안팎의 비판에 귀를 열고 여론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모습을 내보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동시에 야당의 목소리를 충분히 청취하고 일부 주장은 수용함으로써 남은 인사청문 정국에서 협조를 요청할 명분도 쌓는 것으로 보입니다.

장관 후보자가 낙마할 때 통상 취하는 모양새인 '자진 사퇴'가 아니라 '지명 철회'를 택한 것도 주목됩니다.

야권에서 나올 '검증 실패' 비판을 감수하고라도 이 대통령이 책임지고 결정한 일이란 점을 한층 명확하게 드러내는 정공법을 선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이 대통령은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야권의 반대에도 사실상 임명 수순에 들어가면서 '정면 돌파'를 택했습니다.

강 후보자의 임명 강행은 이 대통령 입장에서는 리스크를 감수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강 후보자를 둘러싸고 제기된 의혹이 이른바 '국민정서법'의 관점에서는 조금 더 인화성이 높은 이슈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 후보자의 인사청문회가 끝난 이후에도 제기됐던 의혹에 대한 여론 추이가 어떻게 변할지, 또 강 후보자가 실제 임명된 이후 얼마나 안정적으로 여성가족부를 이끌며 능력을 발휘할지에 따라 이 대통령의 선택에 대한 평가도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