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AI 도입했더니 두 달 치 작업을 30분에…"일상도 산업도 혁신"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07.18 09:33|수정 : 2025.07.18 09:34


▲ 대한상공회의소

"공장에 들인 AI 공장장이 이제는 박사급 직원 2명 몫 이상을 해냅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오늘(18일) 경주에서 개최 중인 하계포럼에서 인공지능(AI) 토크쇼 '모두의 AI, 우리의 AI'를 열었습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과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참가한 이번 행사에서는 AI 세탁소와 AI 검색엔진, AI 의료기기 등 다양한 체험기와 지역 제조 기업의 AI 전환 경험 등이 소개됐습니다.

지역에서의 제조 AI 사례 공유에 나선 박만헌 CFA 부사장은 "생산성 제고를 위해 로봇을 도입했는데 소프트웨어와 운용인력 인건비가 연간 3억~4억 원에 달했다"며 "AI 설루션을 도입하면서 전문가 없이도 로봇을 배치하고 운영할 수 있게 돼 매년 수억 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는 "경남 사천의 한 공장을 예를 들어보면 로봇을 최적 배치하고 공정을 효율화하는 시뮬레이션을 적용하려면 최소 박사급 연구원 2명을 한 달간 투입해야 하는데, AI 기술을 접목하면 30분 만에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규모가 작은 기업을 대상으로 AI 보급과 확산에 집중한다면 현재 관세전쟁, 중국의 추격 등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국내 제조업의 생산성이 빠르게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를 활용해 사업을 벌이고 있는 스타트업 대표들의 사례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세탁특공대 예상욱 대표는 "고객의 옷에 부착된 케어라벨을 AI가 매일 3만 개씩 학습하면서 데이터가 쌓이고 있다"며 "의류업체들도 보유하지 못한 이 데이터를 활용해 향후 패션 트렌드 예측과 같은 신규 사업 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학술자료 웹 형광펜(하이라이팅)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시작해 전문지식 AI 검색엔진으로 사업을 확장한 라이너도 AI의 도움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게 됐습니다.

라이너 김진우 대표는 "하이라이팅을 통해 축적된 전문지식 데이터가 AI 검색엔진 전환에 큰 도움이 됐다"며 "데이터를 어떻게 축적하고 활용할지 결정하는 것만으로도 AI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 누구나 도전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행사에 참석한 한 서비스기업 대표는 "수도권과 달리 정보와 인력이 부족한 지방에서는 AI를 비즈니스에 접목하기 쉽지 않다"며 "각양각색의 사업 모델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AI 설루션이 개발·보급된다면 더 많은 기업이 AI 전환에 도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제조기업 대표는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도입 비용과 시간, 인력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만큼 정부가 빨리 지원책을 마련해 줬으면 한다"고 말했습니다.

대한상의 AI 토크쇼는 지난해에 이어 이번이 2회째입니다.

대한상의는 AI 시대를 맞아 앞으로도 매년 하계포럼을 통해 전국의 경영인들과 함께 AI 토크쇼에서 공감대를 넓히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