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내란특검, '윤 비화폰 삭제 관여' 조태용 전 국정원장 압수수색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07.16 11:07|수정 : 2025.07.16 11:07


▲ 조태용 전 국정원장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오늘(16일)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에 대한 강제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박지영 특검보는 오늘 브리핑에서 "금일 오전 7시부터 내란 후 증거 인멸과 관련해 조 전 원장 주거지를 포함한 8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조 전 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등의 비화폰 정보가 계엄 이후 원격으로 삭제되는 상황에 관여한 의혹을 받습니다.

윤 전 대통령, 홍 전 차장 등 사건 주요 관계자들의 비화폰은 계엄 사태 사흘 후인 12월 6일 원격으로 로그아웃됐습니다.

원격 로그아웃은 통신 내역 등이 지워져 비화폰이 사실상 초기화되는 것을 뜻합니다.

이른바 '보안 조치'로도 불립니다.

12월 6일은 홍 전 차장이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여야 의원들과 면담하면서 "윤 전 대통령이 '이번 기회에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라고 지시했다"고 폭로한 날입니다.

홍 전 차장은 당시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 기록이 담긴 비화폰 화면도 공개했는데, 여기에는 계엄 선포 전후로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내역이 다수 찍혀있었습니다.

통화 내역 공개 직후 국정원은 비화폰에 대한 '보안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경호처에 전달했고, 이후 비화폰 삭제 조치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조 전 원장이 박종준 전 대통령실 경호처장과 통화한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특검팀은 조 전 원장이 비상계엄 관련 증거를 인멸하려는 의도로 비화폰 삭제를 요청했다고 보고 오늘 수사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검팀은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를 검토한 뒤, 향후 조 전 원장을 불러 비화폰 삭제 배경과 윤 전 대통령의 지시 여부 등을 조사할 방침입니다.

조 전 원장은 앞서 'VIP 격노설 회의 참석 의혹'과 관련해 이명현 순직해병 특검팀으로부터도 압수수색을 받은 바 있습니다.

박 특검보는 순직해병 특검팀에서 압수한 물건을 제외한 부분에 대한 압수수색이며 순직해병 특검팀에서 압수한 것 중 내란특검팀에서 필요한 부분은 별도로 넘겨받겠다는 취지로 말했습니다.

특검팀은 또한 재구속된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기소 시까지 가족 및 변호인 접견을 제외한 피의자 접견 금지를 결정하고 이를 서울구치소장에 지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오늘 '부정선거' 음모론으로 논란을 빚어온 모스 탄(한국명 단현명) 미국 리버티대 교수(전 미국 국제형사사법대사)와 구치소에서 접견할 예정이었지만, 특검팀의 접견 금지 조치로 불발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