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엔비디아 칩으로 중국군 발전?…젠슨 황 "걱정할 필요 없어"

박재연 기자

입력 : 2025.07.14 10:08|수정 : 2025.07.14 10:08


미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이 중국에 흘러 들어갈 경우 중국군이 이를 활용해 군사 역량을 키울 것이라는 미국 정부의 우려와 관련,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그런 우려는 할 필요가 없다'고 했습니다.

황 CEO는 13일(현지 시간) 미국 CNN 방송 인터뷰에서 중국군은 미국 기술에 의존할 경우의 위험성 때문에 이를 피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그 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면서 "중국군은 그저 미국 기술에 의존할 수 없다. 언제든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와 전임 바이든 행정부 모두 안보 우려를 내세워 인공지능(AI)과 관련한 미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이나 제품의 중국 수출을 엄격하게 제한해 왔습니다.

이 때문에 엔비디아 등 미국의 첨단 반도체 관련 기업들은 중국 시장에서 매출 타격을 입었다는 평가입니다.

황 CEO는 이 같은 수출 제한은 중국의 자체 기술 개발을 촉진해 AI 산업에서 결국 중국이 미국과 경쟁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

황 CEO는 또, AI가 업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겠지만, 산업 혁신이 부족할 경우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이날 인터뷰에서 다리오 아모데이 앤스로픽 CEO의 일자리 관련 발언에 대한 질문을 받고선 "세상에서 아이디어가 고갈되면 생산성 향상은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아모데이 CEO는 지난 5월 악시오스와의 인터뷰에서 "AI가 향후 5년간 모든 신입 사무직 일자리의 절반을 없애고 실업률을 최대 20%까지 급등시킬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황 CEO는 "기업들이 참신한 아이디어를 내놓는 한 생산성과 고용이 성장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새로운 야망이 없다면 생산성이 저하될 것이며, 이는 결국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근본적인 문제는 사회에 더 많은 아이디어가 남아 있느냐는 것"이라면서 "만약 아이디어가 남아 있고 생산성이 높아진다면, 우리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모든 이의 일자리가 영향을 받을 것이며, 일부 일자리는 사라지겠지만 많은 일자리가 다시 창출될 것"이라면서 "모든 산업에서 나타나는 생산성 향상이 사회를 발전시키기를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황 CEO는 또, AI 개발과 관련해 "지난 300년, 100년, 60년 동안, 심지어 컴퓨터 시대에도 고용과 생산성이 모두 증가했다"면서 기술 발전이 '아이디어의 풍요로움'과 '더 나은 미래를 건설할 방법들'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