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로부터 50%라는 초고율의 '관세 폭탄'을 맞게 된 브라질이 보복 관세 부과를 포함해 국가 경제에 미칠 충격파 완화를 위한 비상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20여 년간 미국과의 교역에서 발생한 누적 적자 규모가 900억 달러(123조 원 상당)를 웃도는 상황에서 '불공정 무역국 누명'을 쓰게 된 만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결정의 불합리성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여론전을 강화하는 움직임도 감지됩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10일(현지 시간) 온라인에 공개된 현지 언론 '조르나우 다 헤코르드'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50% 관세 부과 방침에 "의심할 여지없이 우리는 미국과 먼저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며 "협상이 잘되지 않으면, 경제호혜주의법에 따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룰라 대통령은 대응책 우선순위로 미국과의 직접 협의를 통한 관세율 조정과 다른 국가들과의 연대체 구성을 기반으로 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강조했습니다.
이어 "만약 이 모든 과정이 무위로 돌아간다면, 우리는 상호주의 원칙을 적용해야 할 것"이라며 "미국이 50%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도 그들에게 50%를 부과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브라질 대통령은 이어 단호한 어조로 "상호 존중은 바람직한 가치"라고 강조한 뒤 "한 나라의 대통령이 다른 나라 정상에게 온라인을 통해 서한을 공개하는 건 관례가 아니기 때문에, 저는 (트럼프의 서한이) 가짜 문서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 9일(현지 시간) 브라질에 발송한 '관세 서한'에서 가장 괄목할 대목은 지난 4월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했던 브라질에 대해 정치적인 이유를 제기하며 무려 40% 포인트 인상한 50%의 상호관세율을 적용하겠다고 한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재판에 계류 중인 상황은 "국제적인 불명예"라면서 "이 재판은 열려서는 안 된다. 마녀사냥은 즉시 끝나야 한다"고 썼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브라질에서 자유로운 선거와, 미국인들의 근본적인 표현 자유가 공격받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브라질 상품에 대해 50%의 관세를 8월 1일부터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구성 : 진상명, 영상편집 : 이혜림,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