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국내 휴가 중소기업 CEO 둘 중 한 명은 명소·휴양지 방문"

노동규 기자

입력 : 2025.07.10 14:07|수정 : 2025.07.10 14:07


▲ 중소기업 CEO 여름휴가 형태

국내에서 여름휴가를 보낼 예정인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평균 3.6일을 쉬고 두 명 중 한 명은 명소나 휴양지 등을 방문할 계획을 세웠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3일까지 국내 여름휴가 계획이 있는 중소기업 CEO 135명을 설문해 보니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10일 밝혔습니다.

평균 휴가 일수는 3.6일로 집계됐습니다.

휴가 유형으로 '명소·휴양지 방문'이 응답자의 54.8%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으로 '독서·사색 등 집에서 휴식' 22.2%, '레저·스포츠 활동' 17.8%, '고향·친지 방문' 5.2% 등의 순이었습니다.

국내 휴가를 계획한 이유로는 응답자의 51.9%가 '국내 휴가의 편의성'을 꼽았습니다.

'내수 살리기 동참', '비용 절감', '업무와 병행 가능', '문화적 피로도 없음'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휴가 때 민생 회복 소비쿠폰을 활용할 계획이 있는지에는 86.6%가 긍정적으로 답했습니다.

53.3%가 '활용 계획이 있다'고 답했고, 33.3%는 '고려해 보겠다'고 응답했습니다.

'활용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13.3%였습니다.

중소기업 CEO 여름휴가 민생회복 지원금 활용 계획
중소기업의 여름휴가 제도 형태는 '연차휴가 등 활용해 개별 휴가 유도'가 69.7%로 가장 많았고.

'특정 기간을 지정해 단체 휴무'가 27.3%, '업종 특성상 여름휴가보다 다른 시기 휴가 권장'이 3.0% 순이었습니다.

중소기업의 여름휴가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휴가비 등 재정 지원이 64.3%를 차지했으며 휴가 사용 촉진 제도 등 제도 개선, 휴양시설 제공 등 인프라 지원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국내 여행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방안으로도 여행비 지원이 57.0%로 가장 많았고, 관광 품질 개선과 여행 및 문화산업 활성화, 숙박시설 확충 등 인프라 개선, 지역 관광 활성화 등이 꼽혔습니다.

중소기업 경영자들은 효과적인 내수 활성화 정책으로 전 국민 민생지원금과 같은 직접적인 소비 지원과 대출 만기 연장 등의 금융 지원 확대, 가계소득 보장, 비용 부담 완화, 관광 인프라 마련과 지원 등을 제시했습니다.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