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삼성전자의 100% 자회사인 오디오 전문 기업 하만 인터내셔널에 145만 달러의 합의금을 부과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란 제재 위반 11건에 대한 민사적인 책임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하만은 지난 2018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UAE 소재 유통업체를 통해 미국산 오디오 장비를 이란으로 모두 11차례에 걸쳐 반출해 제재를 위반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판매 금액은 14만 8천 달러에 달했습니다.
해외자산통제국은 이 과정에서 하만의 영국인 세일즈팀 13명이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제재 위반 사실을 은폐한 혐의가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내부 이메일과 문서에서 '이란'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북부 지역", "북두바이", "북쪽"이라는 용어로 대체한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이는 해당 거래의 불법성을 알고도 숨기려 했다는 정황으로 간주했습니다.
해외자산통제국은 국제긴급경제권한법에 따라 이번 사건의 제재 금액은 최대 415만 달러에 달하지만, 하만이 위반 사실을 자진 신고하고 조사에 협조했다는 점을 감안해 145만 달러의 최종 합의금을 책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신동찬/법무법인 율촌 파트너변호사 : 제재 대상 거래에 대한 스크리닝이 하만 같은 글로벌 기업의 스탠더드에서는 크게 부족했으며, 위반 행위 가담자들이 이란으로 수출된 물품들을 두바이행으로 위장했다고 하는 점을 미 재무부는 나쁘게 본 거 같고요. 그래서 전체 거래 금액 추정치의 10배가 넘는 제재 금액을 합의금으로 부과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우리나라에 대한 통상 압박을 최고조로 끌어올리는 시점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한미 간 관세 협상 국면에서 더욱 민감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하만은 지난 2017년, 삼성전자의 100% 자회사가 된 이후, 삼성의 커넥티드카는 물론 오디오 전략의 핵심 자회사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취재 : 김수형, 영상편집 : 이승희,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