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최근 정치권 일각에서는 육군의 대형 공격헬기 도입 사업을 접고, 대신 무인기를 들이자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육군에서도 이런 움직임이 있었는데요. 취재결과 육군의 무인기 도입 계획에 비상계엄 핵심 인물로 꼽히는 노상원 전 정보 사령관이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김태훈 국방 전문 기자입니다.
<기자>
육군의 대형 공격헬기인 아파치 도입 사업을 중단하고 무인기를 사자는 주장은 지난해 방위사업청 국정감사에서 본격적으로 공론화됐습니다.
[유용원/국민의힘 의원(지난해 10월15일) : 이 돈(아파치 예산)의 일부라도 무인기라든지 이런 첨단 전력을 도입하는 게 맞다, 이런 주장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데….]
[석종건/방위사업청장 : 육군에서 이 비싼 헬기가 이만큼이 필요한가에 대해 조금 더 재정 고려하고….]
며칠 뒤 국방부 국정감사에서는 아파치 헬기 사업을 취소하고, 남는 예산을 다른 무기 사는 데 돌린다는 게 기정사실이 됐습니다.
[추미애/민주당 의원 (지난해 10월24일) : 그러면 아파치 헬기 원점 재검토는 맞습니까?]
[김용현/당시 국방장관 : 예, 지금…. (원점 재검토하고 그 돈 어디 쓰실 겁니까, 4.7조 원?) 그것은 저희들이 지금 판단을 아직 못 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중반까지 육군은 1세트당 500억 원이 넘는 이스라엘제 무인기 '헤론 마크1'의 도입을 밀어붙였습니다.
육군 핵심 관계자는 "육군본부가 신형인 '헤론 마크2'가 아니라, 이미 10년 전에 서북 도서에 배치된 기종과 같은 구형 '마크1'을 사자고 해서 국방부 내부 감사를 받았고, 어느 부서가 도입을 주관하느냐를 놓고 육군본부 내부에서 실랑이가 있었다"고 SBS에 밝혔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 무인기 업체의 한국 총판에는 12·3 계엄의 기획자로 알려진 노상원 전 정보 사령관이 근무했던 걸로 전해졌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노 전 사령관이 육군에 구형 헤론 도입을 요구하자 육군이 마지못해서 따랐을 수 있다"며 "다만,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도입은 무산됐다"고 말했습니다.
아파치 헬기가 실제로 한반도 전장 환경에서 더는 불필요한 게 맞는 건지, 또 노 전 사령관의 개입에 따라 헤론 무인기 구매 예산을 확보하려고 아파치 도입 계획을 취소했던 건 아닌지, 군 당국과 특검의 조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 영상편집 : 정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