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치매에도 날 기억한 할머니"…알츠하이머 단초 찾는 연구됐다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07.07 06:58|수정 : 2025.07.07 18:26


억제성 뉴런이 뇌의 장소 학습 기억을 여는 모습을 표현한 일러스트 (사진=조지아공대 제공, 연합뉴스)
▲ 억제성 뉴런이 뇌의 장소 학습 기억을 여는 모습을 표현한 일러스트


"누리 왔냐~"

신경과학자인 정누리 박사는 어제(6일)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 유학 중 6년 만에 귀국해 알츠하이머병을 겪는 할머니를 만났을 때 자신을 바로 알아봤던 일화를 소개했습니다.

한국에서 자주 보는 가족들도 전혀 알아보지 못하던 할머니가 정 박사를 첫눈에 알아보고는 활짝 웃었는데, 기쁘면서도 신경과학자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경험이었다는 것입니다.

이 기억은 뇌가 '친숙한 얼굴'을 '생소한 얼굴'로 잘못 인식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으로 이어졌고, 알츠하이머 치료에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연구까지 도달했습니다.

6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정 박사와 애너벨 싱어 미국 에모리대 및 조지아공대 교수 연구팀은 뇌가 중요한 공간을 학습하는 데 있어 기존 통념과 달리 억제성 뉴런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흥분성 뉴런과 억제성 뉴런은 뇌와 신경계에서 신호 전달을 담당하는 두 가지 뉴런입니다.

흥분성 뉴런은 다른 뉴런을 활성화하고, 억제성 뉴런은 다른 뉴런의 활성을 억제하며 뇌와 신경계를 조절합니다.

학계는 뇌의 학습에 관한 연구에서 주로 학습을 일으키는 흥분성 뉴런에 초점을 맞춰 왔는데, 연구팀은 해마에 존재하며 알츠하이머병에 의해 이상이 생기는 억제성 뉴런인 파브알부민 억제성 뉴런(PV)의 역할에 주목했습니다.

정 박사는 과거 경험을 살려 익숙한 곳과 생소한 곳을 번갈아 가며 보여주는 가상현실 환경을 생쥐에게 주고 보상을 주는 장소를 배우도록 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이 억제성 뉴런이 보상 장소 근처에서 예상과 달리 활동성을 크게 낮추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억제성 뉴런이 중요한 공간일 때 활성을 절반 아래로 감소시키며 흥분성 뉴런이 활동할 수 있는 장을 열어주는 것처럼 보인 것입니다.

정 박사는 "마치 중요한 곳에서 여기가 먹이를 먹을 수 있는 장소라고 알려주듯 침묵을 지키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를 검증하기 위해 빛을 이용해 신경세포 활동을 조절하는 광유전학으로 억제성 뉴런을 조절했습니다.

그 결과 실제로 학습을 위해 억제가 줄어들어야 할 지점에서 억제성을 활성화하면 쥐가 그 장소를 기억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기억과 연관된 질병에 대한 접근을 바꿀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을 다룰 땐 보통 활성화된 뉴런을 조절하는 데 초점을 맞추지만, 오히려 특정 억제성 뉴런을 조절하는 더 쉬운 방식으로 기억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기대입니다.

일례로 알츠하이머병은 40㎐ 뇌파가 감소하는 특성을 보이는데, 연구팀은 파르말부민 억제성 뉴런을 40 헤르츠(㎐)의 빛이나 소리로 자극할 수 있고 이 경우 쥐의 공간 인지 능력이 회복되는 것을 실험에서 확인했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정 박사는 "빛이나 소리 자극을 이용하는 비침습적인 방법이라 인간에게 적용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며 "실제로 임상 실험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조지아공대 제공,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