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티메프 자금 상황이 열악한 걸 알고도 상품권을 추가로 판매해서 피해자들을 속인 해피머니 상품권 전·현직 임직원 7명이 검찰에 넘겨졌습니다. 피해 액수만 1천4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동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찰이 셔터를 올리고 사무실 안으로 진입합니다.
바닥에 피해받은 돈을 돌려 달라는 내용의 종이들이 흩뿌려져 있고, 사무실 한쪽엔 상품권 다발이 박스채 쌓여 있습니다.
경찰이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해피머니 상품권 본사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영상입니다.
경찰은 어제(25일) 해피머니 상품권 대표이사를 포함한 전현직 임직원 7명을 사기 혐의 등으로 검찰에 넘겼습니다.
이들은 티메프의 자금 상황이 열악한 걸 알면서도 상품권을 추가로 판매한 혐의를 받습니다.
앞서 지난해 7월, '티메프 사태'가 발생하자 가맹점들이 해피머니 상품권 사용을 중단시켰고, 상품권 구매자들이 환불을 요구하는 '해피머니 환불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상품권 구매자들은 해피머니 대표이사 등을 사기 혐의로 고소했는데, 환불 사태가 이어지자 해피머니 임직원들은 법인 자금 50억 원을 제3의 관계 법인 계좌로 이체해 은닉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티메프 사태가 일어난 7월 한 달 사이 발생한 피해자는 6만 4천여 명으로, 피해 금액은 1천400억 원에 달합니다.
이들은 또, 상품권 발행 잔액 수치를 조작한 혐의도 받고 있습니다.
상품권의 발행 잔액이 30억 이상인 경우, 사업자는 전자금융업자로 등록해 금감원의 관리감독을 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해피머니 측은 2014년부터 해피머니 온라인 전용 상품권인 '해피 캐시' 잔액을 고의로 30억 미만으로 신고해 금감원의 감독을 피하고, 조작된 자료를 검찰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김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