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한덕수 · 최상목 · 이상민 소환…"CCTV와 진술 달라"

김태원 기자

입력 : 2025.05.27 06:13|수정 : 2025.05.27 06:13

동영상

<앵커>

경찰이 어제(26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경찰이 국무회의 CCTV를 확보해 분석했더니, 피의자들의 앞선 진술과 다른 정황들이 포착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비화폰 서버에서 일부 정보가 원격 삭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태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이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한 인사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입니다.

경찰은 최근 대통령 경호처로부터 계엄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국무회의가 열렸던 대통령실 대접견실과 복도의 CCTV를 임의 제출받아 분석했는데, 앞서 이들의 진술과 배치되는 정황들이 포착됐기 때문입니다.

경찰은 특히 이들이 계엄 관련 문건을 전달받는 과정에서 허위 진술을 한 건 아닌지 확인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한 전 총리는 비상계엄 선포문을 전혀 알지 못했고 국무회의 후 양복 뒷주머니에 있는 것을 알게 됐다고 증언했고, 최 전 부총리도 누군가로부터 쪽지 형태 자료를 받았지만 보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최상목/전 경제부총리 (2월 6일, 국회 청문회) : 딱 보니까 계엄과 관련된 문건으로 인지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것(계엄)은 무시하기로 했으니까 덮어 놓자, 무시하자고 하고 보지는 않았습니다. 내용을요.]

이 전 장관도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을 부인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상민/전 행정안전부 장관 (2월 11일, 탄핵심판 변론기일) : 종이쪽지 몇 개를 좀 멀리서 본 게 있습니다. 소방청 단전·단수 이런 내용이 적혀 있었습니다.]

경찰은 또 경호처로부터 확보한 비화폰 서버 분석 과정에서 비상계엄 선포 사흘 뒤인 지난해 12월 6일, 윤석열 전 대통령과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청장 관련 사용자 정보가 원격 삭제된 정황도 포착했습니다.

이날은 홍 전 1차장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싹 다 잡아들여 정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국회에서 진술한 날이라 경찰은 증거인멸 정황이 뚜렷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양지훈, 영상편집 : 안여진, 디자인 : 이예솔)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