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트럼프 감세' 재정적자 확대 우려에 미 주식 · 채권 동반 급락

백운 기자

입력 : 2025.05.22 05:13|수정 : 2025.05.22 06:42


▲ 뉴욕 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대규모 감세 법안이 미국의 재정 적자를 키울 것이란 우려가 확산하는 가운데, 국채 금리를 밀어 올리면서 21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하락으로 마감했습니다.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16.80포인트(-1.91%) 포인트 내린 41,860.44에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95.85포인트(-1.61%) 내린 5,844.6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70.07포인트(-1.41%) 내린 18,872.64에 각각 마감했습니다.

최근 한 달간 빠른 회복세를 이어온 뉴욕증시 3대 지수는 한 달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감세 법안 의회 통과를 위해 공화당 강경파를 압박하면서 재정적자 확대 우려를 키운 게 미 국채 및 증시의 동반 하락을 가져왔습니다.

공화당 소속인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26일부터 의회가 메모리얼데이(현충일) 휴회에 들어가기에 앞서 트럼프 감세안 연장·확대 등을 골자로 한 이른바 '하나의 아름다운 법안'(메가 법안)을 통과시킨다는 목표에 따라 하원 처리 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서 미 의회 합동조세위원회(KCT)는 메가 법안 초안을 분석한 결과 법안 통과 시 향후 10년간 연방정부 재정 적자를 2조5천억달러(약 3천440조원) 이상 증가시킬 것이라고 추산했습니다.

국제신용평가회사 무디스가 지난주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등급인 'Aaa'에서 'Aa1'으로 강등하며 재정 적자 악화와 정부부채 증가를 조정 사유로 제시한 가운데 감세안 통과가 안전자산으로서 미 국채의 신뢰를 약화하는 것 아니냐는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웠습니다.

특히 이날 오후 이뤄진 20년 만기 미 국채 입찰에서 수요가 저조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미 국채 수요 감소가 이미 현실화한 것 아니냐는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20년물 입찰 결과가 알려진 후 국채 투매가 이어지면서 미 국채 수익률 급등(국채 가격 하락)을 촉발했고, 증시도 동반해 낙폭을 키웠습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미 증시 마감 무렵 5.09%로 전장 대비 12bp(1bp=0.01%포인트) 급등했고,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도 같은 시간 4.60%로 전장 대비 12bp 올랐습니다.

애플은 챗GPT개발사 오픈AI가 아이폰을 디자인한 애플의 '전설적인'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의 인공지능(AI) 기기 개발 스타트업 'io'를 인수한다는 소식에 2.31% 하락했습니다.

미 최대 건강보험사 유나이티드헬스는 HSBC가 투자 의견을 '보유'에서 '축소'로 하향 조정하면서 5.78% 급락했습니다.

CFRA리서치의 샘 스토발 수석 투자전략가는 이날 CNBC 인터뷰에서 "투자자들은 정부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고 부채를 줄이기 위해 실질적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며 "이런 우려가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 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