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생활·문화

'톰 형'의 경이로운 액션 뒤, 흥미롭고 섬뜩한 자의식을 느끼다 [스프]

김민표 D콘텐츠 제작위원

입력 : 2025.05.21 09:01|수정 : 2025.05.21 09:01

[취향저격] 'AI'와 '미국', 두 가지 키워드로 읽는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영화의 앞뒷면에 숨은 이야기 (글 : 홍수정 영화평론가)


미션 임파서블
 

매일 쏟아지는 콘텐츠 홍수와 나도 헷갈리는 내 취향, 뭘 골라야 할지 고민인 당신에게 권해드리는 '취향저격'
 

이 이야기를 한다면 분명 누군가는 반발할 것이다. 그래도 해 보겠다. 어쩔 수 없는 나의 일이니까. 최근 개봉한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예고된 흥행작이다.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은 시리즈, 톰 크루즈의 압도적인 인기, 몸을 사리지 않는 액션. '톰 형'이라는 애칭과 각종 밈까지 등장하며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관객의 인식 속에 이견 없이 지지할 만한 대작으로 자리 잡았다. 30년을 이어 온 시리즈가 자아내는 위엄은 모두의 환호성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복합적인 영화다. 이 작품은 영화가 어떤 방식으로 시대를 품는지, 또한 어떤 방식으로 그 흔적을 외부에 발산하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나는 영화가 집중하는 두 가지 키워드에 관해 얘기할 생각이다. 그건 바로 'AI'와 '미국'이다. 아래부터 영화 내용에 관한 스포일러가 있다.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이 파악하는 우리 시대의 가장 큰 위험은 AI이다. 영화에서는 전 세계 핵 통제권을 장악한 '엔티티'로 구체화된다. AI를 포함한 기술의 위험을 경고하는 영화는 흔하다. 수십 년 전부터 있어 왔고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았을 정도다. 하지만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의 특별함은 AI를 둘러싼 갈등을 미학적으로 녹여내었다는 것이다.

영화는 AI 기술의 신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에단 헌트(톰 크루즈)는 엔티티와 대면하며 그것이 전달하는 이미지를 감지하고, 그 이미지는 스크린을 통해 우리에게 공유된다. 마치 챗GPT나 Gemini와 대화할 때 표시되는 화면 같은 이미지가 등장한다. 그것은 의미 없는 디지털 기호 같기도 하고, 무한한 별로 채워진 우주 같기도 하다. 그 이미지는 첨단 기술인 동시에, 자연(인간)과 맞닿은 AI의 속성을 드러낸다.

한편, 이와 상반되는 장면도 있다. 많은 이들이 극찬하는 '수중 액션 시퀀스'와 '항공 액션 시퀀스'다. AI는 근본적으로 디지털인 것과 달리, 이 장면에서의 에단은 철저히 아날로그적이다. 그는 덮쳐오는 물을 헤치고 바람에 맞서며 간신히 목표를 향해 간다. 그의 성실한 움직임은 눈 깜짝할 사이 여러 이미지를 조합하는 엔티티와 대비를 이룬다. 오로지 인간의 육신으로 추동되는 이 장면에 디지털이 끼어들 틈은 없다.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AI에 저항하는 에단의 외로운 싸움을, 지극히 아날로그적인 액션으로 소화하여 재현한다. 이를 소화하는 톰 크루즈의 기량은 경이롭다.

AI에 대해 이야기했으니, 이제부터 '미국'과 관련한 이야기를 해 보겠다. 여러 탁월한 지점에도 불구하고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의 어떤 부분은 수상하여 그냥 지나치기 힘들다. 그건 이 영화가 반복해서 언급하는 '미국의 역할'에 관한 부분이다.

영화에 등장하는 미국 대통령 에리카 슬론(안젤라 바셋)에게는 중요한 임무가 있다. 바로 전 세계를 핵전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의 핵무기가 엔티티 때문에 무력화된 상황에서, 그녀는 선제공격할지 여부를 관료들과 고민한다.

대통령은 갈등한다. 공격하는 것이 미국에 유리하다고 강하게 주장하는 이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그녀가 고심하는 것은 전쟁과 그로 인해 희생될 사람들, 즉 '세계의 평화'다. 이때 그녀는 한 국가의 수장이지만 사실상 전 세계의 대통령으로서 기능한다. 그녀의 과감한 결단 덕에 세계는 피 흘리지 않고 평화를 유지한다.

언뜻 보아 웅장한 이 서사는 자세히 보면 좀 이상하다. 핵 공격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서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대통령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게 다뤄진다. 이런 연출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다소 과하다는 인상을 떨칠 수 없다. 그녀의 선택은 한 인간의 윤리적 결단이 아니라, 미국 대통령의 위대한 양보이자 절제로 그려진다.

여기서 미국과 같은 강대국이 핵 공격을 하지 않은 것은 그 자체로 영웅적인 행위가 된다. 평화가 아니라 '공격'이 디폴트(기본적으로 주어진 상태)이며, 공격을 포기하는 것은 숭고한 희생이다. 또한 에단이 소속된 IMF(Impossible Mission Force)는 틈틈이 나타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만난 적 없는 이들을 위해 뛴다는 철학을 들려준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전 세계를 지키는 미국.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패권국으로서의 자의식을 가감 없이 드러낸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