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4월 수입물가 1.9%↓…유가·환율 하락 영향

엄민재 기자

입력 : 2025.05.16 09:17|수정 : 2025.05.16 09:17


지난달 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모두 떨어지면서 우리나라 수입 제품의 전반적 가격 수준(원화 환산 기준)도 1% 넘게 낮아졌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4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40.32로, 3월(143.04)보다 1.9% 떨어졌습니다.

2월(-1.0%)과 3월(-0.4%)에 이어 석 달 연속 내림세입니다.

품목별로는 한 달 사이 광산품(-4.6%)·석탄석유제품(-4.2%)·1차 금속제품(-2.4%) 등이 뚜렷하게 내렸습니다.

세부 품목에서는 원유(-7.4%)·벙커C유(-6.7%)·알루미늄정련품(-6.4%)·이차전지(-8.2%) 등이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원유 등 광산품을 중심으로 수입 물가가 떨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두바이 유가(월평균·배럴당)는 3월 72.49달러에서 지난달 67.74달러로 6.6% 하락했습니다.

수입물가지수 추이 (사진=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
4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도 전월(135.11)보다 1.2% 낮은 133.43으로 집계됐습니다.

3월 0.4% 올랐다가 한 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원/달러 평균 환율이 3월 1,456.95원에서 4월 1,444.31원으로 0.9% 낮아진 가운데, 주로 석탄·석유제품(-3.6%)·화학제품(-2.3%)·운송장비(-2.0%) 등이 수출 물가를 끌어내렸습니다.

세부 품목 중 벤젠(-12.5%)·경유(-3.6%)·휘발유(-3.6%) 등은 떨어졌지만, 플래시메모리(10.7%)·D램(0.4%) 등은 올랐습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3.78)는 1년 전보다 1.2% 상승했습니다.

같은 기간 수입 가격(-5.3%)이 수출 가격(-4.2%)보다 더 내렸기 때문입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로,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소득교역조건지수(115.16)도 수출물량지수(7.7%)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1.2%)가 모두 오르면서 1년 전보다 9.0% 높아졌습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