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오늘(15일)은 스승의 날이지만, 교권은 갈수록 추락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 조사에서는 응답한 선생님의 절반 가까이가 교권 침해 경험이 있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사진 한 장으로 담임교사의 관상을 보는 온라인 커뮤니티까지 등장했습니다.
G1방송 박명원 기자입니다.
<기자>
인터넷 한 커뮤니티.
회원 수만 5천 명이 넘습니다.
2만 원에서 5만 원을 내면 학교 선생님과 자녀가 잘 맞는지, 이른바 기운합을 봐준다고 홍보합니다.
필요한 건 선생님과 자녀 사진 각 1장뿐.
자칭 '학운 전문가'인 커뮤니티 운영자는 학부모가 보낸 선생님 사진으로 관상만 보고, "자기 고집, 아집이 강하다. 선생님이 수용이 크지 않고 잣대가 강하다"고 판단합니다.
추락한 교권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단편적 예입니다.
최근 발표된 강원 지역 교권 실태 조사를 보면,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 교권 침해를 당한 적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강원지부가 실시한 실태 조사를 보면, '최근 3년 내 교권 침해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1,359명 중 43.6%가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교권 침해 주체로는 69.0%가 보호자, 학부모를 꼽았습니다.
교권 침해를 당한 교원들은 어떻게 대응할까.
응답자의 69.3%는 '혼자서 감내한다', 59.8%는 '지인과 상담'을 선택했습니다.
교권보호위원회 등 교권 침해 대응을 위한 시스템을 활용하겠다는 응답은 11.1%에 그쳤습니다.
강원자치도교육청은 "교권 전담 변호사의 법률 상담과 체계적인 민원 대응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며, "교육공동체가 서로 존중하는 건강한 학교 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박종현 G1방송, 디자인 : 이민석 G1방송)
G1뉴스 박명원